학술논문
청소년의 명상코칭 경험에 대한 주관성 연구: 여자중학생을 중심으로
이용수 16
- 영문명
- Subjective Study on the Meditation Coaching Experience of Adolescents: - Focusing o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
- 발행기관
- 아시아상담코칭학회
- 저자명
- 홍명진
- 간행물 정보
-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제7권 제1호, 15~3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여자 중학생들의 명상코칭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의 특성과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S시 소재 여자중학교 학생 25명으로, Q-sorting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Ken-Q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성분 분석과 배리맥스 회전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네 가지 주요 인식 유형이 도출되었다. 첫째, ‘흥미중심 탐색형’은 명상코칭을 새로운 학습 방식으로 인식하며, 집단활동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학습 동기를 얻는 특징을 보였다. 둘째, ‘효과중심 집중형’은 명상을 내적 안정과 집중력 향상을 위한 도구로 간주하며 학업 수행과 스트레스 관리에 효과적이라고 평가하였다. 셋째, ‘소통중심 교류형’은 친구들과의 상호작용과 집단활동을 중요시하며, 역동적인 활동을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넷째, ‘감정조절 갈등형’은 감정 인식과 조절의 중요성을 인지하며 외적 성과보다는 내적 경험을 중요하게 여겼다. 연구 결과, 명상코칭을 경험한 여자중학생들이 흥미, 효과, 소통, 감정 등 4가지의 서로 다른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인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청소년의 유형별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프로그램 설계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tilized Q methodology to categorize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their experiences with meditation coaching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each type. The study involved 25 students from a girls’ middle school in S City and analyzed the data collected through Q-sorting using the Ken-Q Analysis Desktop Edition (Ken-Q) program wit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Varimax rotation. The analysis revealed four main perception types. First, the “interest-oriented exploratory type” viewed meditation coaching as a novel learning method, emphasizing the motivation gained from group activities and peer interactions. Second, the “effect-oriented focused type” perceived meditation as a tool for enhancing inner stability and concentration, recognizing its effectiveness in academic performance and stress management. Third, the “communication-oriented interactive type” prioritized interactions with peers and group activities, showing a preference for dynamic activities. Finally, the “emotional regulation conflict typ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motion awareness and regulation, placing greater value on internal experiences rather than external outcomes.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meditation coaching perceived it through four distinct lenses: interest, effectiveness, communication, and emotions. Moreover, the study understood the necessity of designing tailored programs that address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each perception typ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라이프코칭에서의 그룹코칭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반려견 양육자의 반려견 의미에 대한 귀납적 내용 분석: 에니어그램 3, 6, 9유형 중심으로
- 청소년의 명상코칭 경험에 대한 주관성 연구: 여자중학생을 중심으로
-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오즈의 마법사 주요 캐릭터 분석: 허수아비, 양철 나무꾼, 겁쟁이 사자의 중심 에너지를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치유산업에 대한 인식 및 운영 요구: 치유프로그램 참여 경험 및 인식에 따른 차이 분석
- 한부모 여성의 심리적 성장을 위한 에니어그램 중심 미술치료: 에니어그램 4번 유형의 단일 사례 연구
- 경영자 코칭(executive coaching)의 현재와 미래: 국내 연구 동향과 발전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 국내 다문화 아동·청소년 미술치료 연구 동향분석: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2015-2023)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조사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 라이프코칭에서의 그룹코칭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반려견 양육자의 반려견 의미에 대한 귀납적 내용 분석: 에니어그램 3, 6, 9유형 중심으로
- 청소년의 명상코칭 경험에 대한 주관성 연구: 여자중학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