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Narrative Study on the Stress Coping Method of Dementia Elderly Dependents from the Movie
- 발행기관
- 아시아상담코칭학회
- 저자명
- 이정옥
- 간행물 정보
-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제4권 제1호, 29~4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화 <장수상회>의 가족을 기억하지 못하는 치매노인 김성칠이 췌장암말기인 아내 임금님과의 세 번의 첫 만남을 통하여 치매환자로 인식해 가는 과정을 내러티브로 재구성하였다. 또한 치매노인에 대한 부양가족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사랑의 인사(Sault D’Damour)’, ‘친절한 도둑(Frandly stranger)’, ‘매일 또 다시(Every new moment)’, ‘가족의 의미’와 같은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치매노인의 부양가족 상담 장면에서 유용하게 작용할 것이며, 부양가족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실천 가능한 전략을 발전시키는데 근거를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constructed the narrative of how Kim Seong-chil, a dementia elderly who cannot remember his family of the movie , recognizes him as a dementia patient through his three first meetings with his wife, who is a pancreatic cancer terminal. In addition, the stress coping method of dependent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was explored. As a result of the study, topics such as 'Sault D'Damour', 'Friendly Stranger', 'Every New Moment', and 'The Meaning of Family' were derived.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the future dependent counseling scene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will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a strategy that can be practiced in the dependent family's stress coping method.
목차
I.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 국내 다문화 아동·청소년 미술치료 연구 동향분석: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2015-2023)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