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가정 모어의 음운 체계와 자녀의 한국어 발음 상관관계 - 베트남, 중국, 한국어 음운 산출을 중심으로 -
이용수 42
- 영문명
- Correlation Between the Phonological System of Mother’s Language and Multicultural Children’s Korean Pronunciation - Based on Vietnamese, Chinese and Korean Affricates Sounds -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지윤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5권 제3호, 113~14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다문화가정 모어의 음운 체계가 자녀의 한국어 발음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전라북도 거주 베트남, 중국 출신 어머니와 자녀, 그리고 한국인 어머니와 자녀 총 126명을 대상으로 실험음향음성 분석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다문화 어머니와 자녀가 한국어 파찰음 /ㅈ/, /ㅉ/, /ㅊ/ 조음시 F1, F2, 그리고 폐쇄 지속 시간(CD)을 측정하여 정량적 분석을 하였고, 인터뷰를 통해 조음을 어려워하는 원인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베트남, 중국 모어의 음운 체계는 자녀의 한국어 발음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한국어 파찰음 조음을 어려워하는 이유는 혀의 전후 위치, 기식 변별자질, 문식성임을 새롭게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국어 파찰음 조음을 어려워하는 데는 혀의 높낮이가 아니라 혀의 전후 위치 때문임을 음향음성학으로 도출해냈다는 점이 가장 큰 성과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phonological system of mother’s language is correlated with the Korean pronunciation of multicultural children. An experimental acoustic analysis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126 mothers and children from Vietnam and China living in Jeollabuk-do, and Korean mothers and children.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the measurements of F1, F2, and Closure Duration (CD) and examined the causes of difficulty in articulation through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honological systems of Vietnamese and Chinese were correlated with their children's Korean articulation. In addition, the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articulate the Korean affricates is significant in that it newly showed the back-forth tongue position, aspirates features, literacy.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reason why mothers and children from Vietnam and China have difficulty pronouncing of Korean affricates is not because of the high-low tongue position, but because of back-forth tongue posi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분석 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국문요약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등학교『사회․문화』교과서에 나타난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내용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 다문화가정 모어의 음운 체계와 자녀의 한국어 발음 상관관계 - 베트남, 중국, 한국어 음운 산출을 중심으로 -
- 다문화학생 밀집지역의 다문화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S교육지원청을 중심으로
- 외국인 유학생의 진로 및 장기체류 의사 결정요인 분석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 중등학교 예비진로전담교사 대상 「다문화 사회정의 역량 강화프로그램」의 효과: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 인식수준에 따른 잠재집단분류 및 진로태도 차이분석: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