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이용수 9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하영 아영아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5권 제3호, 51~7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인 신뢰, 네트워크, 참여가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와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 및 경남에 거주지를 두고 있는 초등학생 이상의 자녀가 있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임의표집과 눈덩이 표집방법과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188개 데이터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으며, 경로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 중 신뢰는 자녀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으나,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다. 반면,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자본 중 네트워크와 참여는 자녀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지만,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으로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혼이주여성 자녀의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결혼이주여성의 신뢰를 높이는 전략과 함께 네트워크와 참여를 통해 자아존중감을 높여 자녀의 학교적응을 높이는 전략이 유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rust, network, and participation, which are social capital of marriage immigrant women, on thei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the mediating of marriage immigrant women’s self-esteem. To address the goal, marriage migrant women residing in Busan or Gyeongnam and having children i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or higher were chosen through random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ata of 188 marriage migrant women were adopted for final analysis, and path analysis was utilized to verify the hypotheses. According to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hen marriage migrant women’s sociodemographic variables were controlled, trust, one of the variables of their social capital, was found to influence children’s school adaptation directly, but it did not influence school adaptation with the mediation of self-esteem. Meanwhile, their network and participation, the other variables of their social capital, did not influence children’s school adaptation directly but did influence it indirectly with the mediation of their self-esteem.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o enhance the school adaptation of marriage migrant women’s children, we can use strategies to improve trust among the variables of social capital they are equipped with and also enhance children’s school adaptation by elevating self-esteem through their network and particip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등학교『사회․문화』교과서에 나타난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내용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 다문화가정 모어의 음운 체계와 자녀의 한국어 발음 상관관계 - 베트남, 중국, 한국어 음운 산출을 중심으로 -
- 다문화학생 밀집지역의 다문화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S교육지원청을 중심으로
- 외국인 유학생의 진로 및 장기체류 의사 결정요인 분석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 중등학교 예비진로전담교사 대상 「다문화 사회정의 역량 강화프로그램」의 효과: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 인식수준에 따른 잠재집단분류 및 진로태도 차이분석: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