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학교 예비진로전담교사 대상 「다문화 사회정의 역량 강화프로그램」의 효과: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29
- 영문명
- The Effect of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mpetency Strengthening Program for Secondary Preliminary Career Teacher: Focusing on Participation Experience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임은미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5권 제3호, 25~5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예비진로전담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 사회정의 역량 강화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사를 위한 다문화 사회정의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회기당 120분 정도 소요되었으며, 5회기를 1주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분석자료는 연구참여자 17명이 매회기가 끝난 후 제출한 서면 성찰일지와 사후면접에서 진술한 내용이었다. 자료 분석방법은 QCA였다. 프로그램 참여 과정 경험은 3개의 범주와 10개의 하위범주, 프로그램 참여 효과 경험은 2개의 범주와 5개의 하위범주로 정리되었다. 이 연구는 예비진로전담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역량과 사회정
의 교육역량을 포괄하여 구성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참여자들의 경험을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정리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preliminary career teachers' participation experiences in a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mpetency strengthening program. With an aim to improve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mpetencies of participating teachers, a 120-minutes weekly session was organized and conducted for 5 weeks. The data were the reflection journals after each session and the statements in interview after final session made by 17 participants, analyzed by the QCA. The process experiences in the program were three categories and 10
sub-categories. The effect experiences in the program were two categories and five sub-categor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a program that encompasses multicultural and social justice competencies, and summarized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through their own voic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등학교『사회․문화』교과서에 나타난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내용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 다문화가정 모어의 음운 체계와 자녀의 한국어 발음 상관관계 - 베트남, 중국, 한국어 음운 산출을 중심으로 -
- 다문화학생 밀집지역의 다문화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S교육지원청을 중심으로
- 외국인 유학생의 진로 및 장기체류 의사 결정요인 분석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 중등학교 예비진로전담교사 대상 「다문화 사회정의 역량 강화프로그램」의 효과: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 인식수준에 따른 잠재집단분류 및 진로태도 차이분석: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