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한 청년고용정책의 방향성 탐색 - 청년 니트(NEET)를 중심으로 -

이용수 128

영문명
Exploring the Future Direction for Youth Employment Policy Using Latent Class Analysis - Focused on NEET -
발행기관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저자명
윤소희 김제현
간행물 정보
『지방교육경영』제26권 제2호, 103~12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청년 니트(NEET)에 대한 유형별 맞춤형 접근의 필요성에 기인하여, 청년 니트(NEET)를 중심으로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하여 청년고용정책의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주관한 「2020 고용패널조사」에서 제공한,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6년 데이터(2016GoMS)를 사용하였다.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하여 비경제활동 청년 니트(NEET)의 잠재계층 유형을 도출하였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해당 유형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잠재계층분석(LCA)을 활용하여 비경활 청년 니트(NEET)의 잠재계층유형을 도출해 본 결과, 취업준비형(12.1%), 진로결핍형(28.5%), 기회추구형(60.4%) 등 총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활용하여 성별, 연령, 학교유형 등을 기준으로 잠재계층 유형별 특성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비경활 청년 니트(NEET) 유형뿐만 아니라, 고학력자 니트 비중(혹은 비율)이 높은 우리나라의 특성을 고려할 때, 청년들의 올바른 진로교육에 따른 진로(혹은) 선택 및 전공일치도 향상을 통한 본인의 직업과 일상의 연계, 직업과 취미활동의 상호결합 등을 통하여 한 단계 더 질적으로 향상된 삶의 질을 보장할 수 있는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Due to the need for a customized approach to NEET, in this study we aim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for youth employment policy by utilizing latent class analysis focusing on NEET. In this study we used the 2016GoMS(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provid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latent class type of economically inactive youth NEET was derived using latent class analysis, and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ype were examin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eriving the potential class types of NEET using latent class analysis (LCA), there were a total of three types: job preparation (12.1%), career deficiency (28.5%), and opportunity-seeking (60.4%).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potential class based on gender, age, and school type using logistic regressio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conclusion, given the unique landscape of Korea, characterized by a high proportionof highly educated NEET as well as the types of economically inactive youth NEET derived from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have a policy to guarantee a higher quality of life by connecting one's job and daily lif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소희,김제현. (2023).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한 청년고용정책의 방향성 탐색 - 청년 니트(NEET)를 중심으로 -. 지방교육경영, 26 (2), 103-126

MLA

윤소희,김제현.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한 청년고용정책의 방향성 탐색 - 청년 니트(NEET)를 중심으로 -." 지방교육경영, 26.2(2023): 103-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