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일지 일과평가 내용분석
이용수 115
- 영문명
- Content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ees' daily evaluation in educational practice diaries using text mining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임예지 김혜전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8권 제2호, 237~26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 현장교육역량 함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교육실습생의 실습일 지 일과평가에 나타난 단어들의 양상과 주요 단어 쌍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실습생들의 일 지에 많이 등장한 단어들은 ‘유아’, ‘생각’, ‘수업’, ‘놀이’, ‘교사’ 등이 있었고 이 단어들은 연결중심성도 높아 예비유아교사들 실습일지의 핵심 키워드로 규명되었다. 또한 ‘아쉽다’, ‘재미있다’, ‘배우다’, ‘어렵다’ 등의 실습생의 감정이나 상태를 표현하는 동사, 형용사 등도 자주 출현하였다. 동시출현빈도가 높은 단어 쌍은 ‘유아-놀이’, ‘유아-상호작용’ 이 있었는 데, ‘유아-놀이’ 단어가 연결된 문장에는 ‘함께’, ‘관찰’, ‘지도’, ‘갈등’, ‘안전’ 등의 단어가 자주 나타났다. ‘유아-상호작용’ 단어가 연결된 문장에는 ‘방법’, ‘발문’, ‘생각’, ‘이해’ 등의 단어가 함께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의 놀이를 이 해하고 지원하기 위해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실습일지 작성을 통해 반성적 사고와 자기 성찰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정서적 평가를 학습의 기회로 발전시키고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고민과 성찰을 지속하고 있다는 점도 함께 논의하였다. 이는 교 육실습 체계 및 교사양성 방안에 긍정적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looked at the aspects of words and the contents of keyword pairs in the daily evaluation of trainees' practice diaries in order to find ways to develop on-the-job training competency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ords that appeared frequently in trainees' diaries were 'infant', 'thought', 'class', 'play', and 'teacher', and these words were identified as keywords in the practice diar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ue to their high connection centrality. In addition, verbs and adjectives that express trainees' feelings or states, such as 'regretful', 'interesting', 'learning', and 'difficult', appeared frequently. Word pairs with high co-occurrence frequency were 'children-play' and 'children-interaction'. In sentences related to 'children-play', words such as 'together', 'observe', 'guide', 'conflict', 'safety', etc. frequently appeared. Words such as 'method', 'question', 'thought', and 'understanding' tended to appear together in sentences in which the word 'infant-interaction' was connected. Based on these results, trainees make significant efforts to understand and support children's play. Through writing diaries, they have opportunities for reflective thinking and self-examination. They also develop emotional evaluation as a learning opportunity. The discussion included that they continue to contemplation and reflection on interactions with children. This indicates a need for positive changes in the education practicum system and teacher training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일지 일과평가 내용분석
-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사회적 지지, 교직헌신과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유아 민주시민교육의 실천을 위한 실행연구
- 유아가 생각하는 유치원에서 가장 재미있었던 놀이
- 플로깅(plogging)으로 시작된 유아의 지속가능발전적 변화 탐색: 우리동네 공원지킴이 프로젝트 중심으로
- 공립유치원 초임교사들의 교직입문 및 적응과정: 사회적 자본인 관계를 중심으로
- 게임 활용 장애이해교육을 통한 유아의 장애 인식 및 수용 태도 변화
-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육 관련 유튜브 이용실태 및 요구 분석
-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원장 멀티플라이어십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