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게임 활용 장애이해교육을 통한 유아의 장애 인식 및 수용 태도 변화
이용수 212
- 영문명
- Changes in young children’ awareness and acceptance attitudes of disabilities through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al games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최민정 김경희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8권 제2호, 53~8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게임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을 실행하며 유아의 장애 인식 및 수용 태도 가 개선되어가는 과정을 관찰하고 변화 과정을 탐색해보는 것이다. 3∼5세 혼합연령 무지 개반에서 두 학기에 걸쳐 이루어진 게임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에 관한 질적 자료를 수집 하여 결과를 정리하였다. 그 결과 게임을 통해 유아들은 장애에 대해 ‘틀림에서 다름’으로 인식이 변화되었고 정확하지 않은 용어로 장애인을 이야기하면 장애인들이 상처받을 것이 라고 하며 자발적으로 인터넷을 검색하고 확인하여 장애 관련 용어에 대해 이해를 하고 올 바른 용어를 사용하였다. 장애유아를 친근하게 느낀 후에 나타난 태도는 ‘보살펴 줘야 하는 어린 친구’, ‘불편한 친구’에서 ‘즐거운 친구’, ‘친한 친구’, ‘함께 놀이하는 친구’로 변화되었 다. 친구들이 가지고 있는 각기 다른 능력과 차이를 인식하도록 도와주는 게임을 통해 점점 더 서로 다른 능력과 생각을 가졌다는 것에 관심을 갖고 함께 놀이하는 친구로 생각하고 더 나아가 우정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유아가 놀이와 같이 직접 참여 하는 유형의 장애이해교육이 어떤 교육적 효과가 있는지 의문을 가진 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using games, observe the process of improving young children’s disability recognition and acceptance attitude, and explore the process of chang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by collecting qualitative data on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using games that took place over two semesters in the mixed age Rainbow class of 3 to 5 years old. As a result, through the game, young children’s perception of disability changed from ‘wrong to different’, and they said that the person with disability would be hurt if they talked about the disability in inaccurate terms, and voluntarily searched and checked the Internet to understand disability-related terms. and used the correct terminology. The attitude shown after feeling close to the child with disability was changed from ‘a young friend to be taken care of’ and ‘an uncomfortable friend’ to ‘a pleasant friend’, ‘a close friend’, and ‘a friend to play with’. Through a game that helps friends recognize the different abilities and differences they have, I was able to see that they could gradually become interested in having different abilities and thoughts, think of them as friends to play with, and further develop friendship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helpful to teachers who have doubts about the educational effect of education on understanding disabilities in which children directly participate, such as pla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일지 일과평가 내용분석
-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사회적 지지, 교직헌신과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유아 민주시민교육의 실천을 위한 실행연구
- 유아가 생각하는 유치원에서 가장 재미있었던 놀이
- 플로깅(plogging)으로 시작된 유아의 지속가능발전적 변화 탐색: 우리동네 공원지킴이 프로젝트 중심으로
- 공립유치원 초임교사들의 교직입문 및 적응과정: 사회적 자본인 관계를 중심으로
- 게임 활용 장애이해교육을 통한 유아의 장애 인식 및 수용 태도 변화
-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육 관련 유튜브 이용실태 및 요구 분석
-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원장 멀티플라이어십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