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립유치원 초임교사들의 교직입문 및 적응과정: 사회적 자본인 관계를 중심으로
이용수 152
- 영문명
- Public kindergarten beginning teachers’ induction and adaptation process: Focusing on relationships as social capital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김고은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8권 제2호, 85~11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초임교사들이 유아교육기관 내·외에서 맺고 있는 관계에 대해 살펴 보고, 이러한 관계가 그들의 교직입문 및 적응과정에 주는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공립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초임교사 4인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개별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초임교사들은 기관 내·외에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면서 심리·정서적 안정감을 우선적으로 추구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정보·평가적 지지를 위한 관계를 확장시켜 나갔다. 또한 온·오프라인 외부 연결망을 통해 형성한 결속적·교량적 관계를 유연하게 넘나 들면서 관계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기회와 자원을 활용하여 교직에 적응해갔다. 이러한 과 정에서 관계는 초임교사의 교직입문 및 적응을 돕는 유용한 사회적 자본으로 기능하였으 며, 초임교사들은 신뢰를 기반으로 호혜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있어 주체적인 역 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임교사들을 일방적 수혜자가 아닌 관계 내 사 회적 자본을 확보하고 지속적으로 유지하려는 주체로 바라보고, 교직적응 지원을 위한 실 제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방향성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that public kindergarten beginning teachers formed within and outside their institutions and analyze the meaning of these relationships in the process of induction and adaptation to the teaching profession. To this e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ing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beginning teachers in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eginning teachers prioritized seeking emotional stability and expanded their relationships to acquire information and evaluative support. Additionally, they adapted to their teaching profession by flexibly navigating the bonding and bridging relationships formed through online and offline external networks and utilizing various opportunities and resources within these relationships. Throughout this process, relationships served as valuable social capital that helped the beginning teachers’ induction and adaptation process. It was also evident that the beginning teachers played an active role in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reciprocal relationships based on trus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iews beginning teachers as agents who secure and sustain social capital within relationships rather than being passive beneficiaries and it also seeks practical directions for supporting teachers’ adaptation.
목차
Ⅰ. 서론
II.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일지 일과평가 내용분석
-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사회적 지지, 교직헌신과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유아 민주시민교육의 실천을 위한 실행연구
- 유아가 생각하는 유치원에서 가장 재미있었던 놀이
- 플로깅(plogging)으로 시작된 유아의 지속가능발전적 변화 탐색: 우리동네 공원지킴이 프로젝트 중심으로
- 공립유치원 초임교사들의 교직입문 및 적응과정: 사회적 자본인 관계를 중심으로
- 게임 활용 장애이해교육을 통한 유아의 장애 인식 및 수용 태도 변화
-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육 관련 유튜브 이용실태 및 요구 분석
-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원장 멀티플라이어십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