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교과에서 지역사회 연계의 의미 고찰: 국가 수준 교육과정 관련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108

영문명
Exploring the Meanings of ‘Community-Based’ within the Context of an Art Subjec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강주희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87집, 1~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0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지역사회 연계의 교육적 의의와 가치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지역사회 연계’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 살펴보았다. 1차와 2차 교육과정은 경험 중심 교육과정의 영향과 국가·사회적 요구에 따라 사회 재건과 생활 개선을 위해 지역사회 연계를 추구하였던 반면, 7차 교육과정 이후에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강조되면서 학생의 요구와 수요에 맞는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 교육과정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급변하는 사회에 대비하여 교육과정 운영의 유연성과 자율성을 확대하기 위해 지역사회 연계가 강조되었다. 또한 2015개정 교육과정에 도입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은 지식의 깊이있는 이해를 위해 맥락적 탐구와 적용을 강조함에 따라 학습의 실제적 맥락을 제공하는 지역사회 연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미술과 교육과정의 경우, 6차 미술과 교육과정에 DBAE의 영향으로 미학의 개념이 도입됨에 따라 미술과 생활과의 관계를 탐구하는 영역이 개설되었고, 2007개정 교육과정에 시각문화 미술교육 이론이 반영되면서 미술의 범주가 확대되고 삶의 맥락에서의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비판적 탐구가 강조되었다. 이후 사회참여 미술교육의 등장은 학생들이 미술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과정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등 지역 사회와의 연계가 학습의 실제적 맥락 제공의 차원에서 실제적 참여와 실천으로 확대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value of community linking and analyzes how linking with the community has been promoted in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As a result, the 1st and 2nd curriculum pursued community connection to improve students' lives and reconstruct the society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the experience-centered curriculum and national and social needs, while the 7th curriculum and beyond students-centered education is emphasized, diversification of the curriculum is secured to conduct education that meets the needs and demands of students, and connection with communities is secured to expand flexibility and autonomy of the curriculum to flexibly respond to a rapidly changing society. In additio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d the contextual exploration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for in-depth understanding, which served as an opportunity to further strengthen the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that provides the authentic context.In the case of the national art curriculum, the concept of aesthetics was introduced under the influence of DBAE in the 6th curriculum, and as the theory of visual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reflected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critical exploration of visual images in the context of life was emphasized. Also, the emergence of socially engaged art education has expanded the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to actual participation and practice in terms of providing a practical context for learning, such as having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and solving problems in the community.

목차

I. 서론
Ⅱ. ‘지역사회 연계’의 의미 제고를 위한 선행 연구 분석
Ⅲ. 교육과정에 나타난 ‘지역사회 연계’의 의미 변화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주희. (2023).미술교과에서 지역사회 연계의 의미 고찰: 국가 수준 교육과정 관련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조형교육, (), 1-18

MLA

강주희. "미술교과에서 지역사회 연계의 의미 고찰: 국가 수준 교육과정 관련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조형교육, (2023): 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