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학습지원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따른 학업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98
- 영문명
- Effect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Learning Support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s on Their Achievement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안현선 김원식 김은진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35권 제2호, 379~39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학습지원을 목적으로 운영된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와 프로그램에 멘티로 참여한 외국인 유학생의 학습성과와 대학 생활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A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2019년 1학기와 2학기에 운영된 학습지원프로그램에 멘티로 참가한 59명의 외국인 유학생 중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학업성취도 비교가 가능한 31명의 성적 자료를 활용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와 함께 프로그램에 참여한 멘토와 멘티 각각 2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종료 후 면담을 진행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및 개선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멘티로 참여한 외국인 유학생의 프로그램 참여 전과 참여 후의 학업성취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면담 내용분석 결과, 프로그램 참여가 멘티 학생들의 학업과 교우관계 확대 등 대학생활적응과 관련된 부분에서 도움이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외국인 유학생의 참여 확대를 위해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가 강화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해 교수와 직원 등 교내 구성원이 함께 참여하는 대학 차원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대학생활 부적응과 이에 따른 학업저성취 및 중도탈락에 대한 선제적인 예방을 위해 외국인 유학생 전담 학습지원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a learning support program and test its effect on the achievement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The study used the academic records of 31 out of 59 internationa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support program implemented during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2019. The paired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d the effects of program on achievement (GPA)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PA betwee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content analysis of the interviews was further conducted to gain insights into participants’ experiences with the program and showed that the program was helpful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terms of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expanding their academic and social relationships, and related aspects. However, there is a need to do more to improve the program for developing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confirming the need for continuous universitywide support involving faculty and staff for international students to adapt to university life. In addition, more international student services and learning programs are needed to prevent academic underachievement and dropout due to mal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상 시뮬레이션 학습자의 인지부하와 정서를 분석하기 위한 표정 분석 및 뇌전도의 활용
- 중등교육에서 학습전략과 과제수행동기의 산문파지 효과
-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와 실행 전략 개발:긍정탐색을 활용하여
- 테크놀로지 기반 자기조절 지원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성취동기 프로파일과 노력조절 및 인지적 참여에서의 차이
- 2022 개정 교육과정 관련 학교교육과정에서 강화될 영역에 대한 요구 분석: 잠재적 디리클레 할당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 온라인 직무교육에서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 학습자요인 분석 커리어컨설턴트를 중심으로
-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학습지원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따른 학업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 중등 교육 개선을 위한 사회정서역량 척도 개발: 문화예술교육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개념적 이해를 위한 핵심 아이디어, 성취기준 및 질문의 연계 제시 방식 비교·분석: 캐나다 온타리오 및 B.C. 주와 싱가포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디지털 교실환경 유형과 학생의 학교생활 : OECD 국가 비교를 중심으로
- OECD 주요국의 고등교육 중·장기 발전 계획과 재정 투자 전략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