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온라인 직무교육에서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 학습자요인 분석 커리어컨설턴트를 중심으로
이용수 57
- 영문명
- Analysis of Learner Factors Affecting Self-efficacy and Learning Engagement in Online Job Training: Focusing on Career Consulta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양수우 장재홍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35권 제2호, 351~37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커리어컨설턴트의 온라인 직무교육에서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 공공 및 위탁 고용서비스기관 및 대학일자리센터 등에 재직중인 커리어컨설턴트 156명을 대상으로 학습자요인(심리변인, 배경변인, 학습환경변인)과 자기효능감 및 학습몰입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커리어컨설턴트의 온라인 직무교육에서 학습자 심리변인인 자기조절학습은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커리어컨설턴트의 온라인 직무교육에서 학습자 배경변인인 성별 직급 근속년수는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몰입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커리어컨설턴트의 온라인 직무교육에서 학습자 학습환경변인인 상호작용은 상호작용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학습자-시스템 상호작용은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에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하지만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은 자기효능감에는 유의하였으나 학습몰입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은 자기효능감에 부적으로 유의하였으나 학습몰입에는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커리어컨설턴트의 온라인 직무교육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earner factors that influence self-efficacy and learning engagement in online job training for career consultants. To achieve this, a study was conducted with 156 career consultants working in public and delegated employment service agencies, the University Job Center. The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factors (psychological, demographic background and environmental) and self-efficacy and learning engagement.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learner psychological factors, specifically self-regulated lear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and learning engagement in online job training for career consultants. Second, learner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position, and years of servi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and learning engagement. However, 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and an inverse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Third, learner environmental factors, particularly interactions,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interaction. Learner-system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self-efficacy and learning engagement. However, teacher-learner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self-efficacy and not on learning engagement. Finally, learner-learner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but not on self-efficacy.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 for improving online job training for career consultants are propo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상 시뮬레이션 학습자의 인지부하와 정서를 분석하기 위한 표정 분석 및 뇌전도의 활용
- 중등교육에서 학습전략과 과제수행동기의 산문파지 효과
-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와 실행 전략 개발:긍정탐색을 활용하여
- 테크놀로지 기반 자기조절 지원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성취동기 프로파일과 노력조절 및 인지적 참여에서의 차이
- 2022 개정 교육과정 관련 학교교육과정에서 강화될 영역에 대한 요구 분석: 잠재적 디리클레 할당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 온라인 직무교육에서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 학습자요인 분석 커리어컨설턴트를 중심으로
-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학습지원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따른 학업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 중등 교육 개선을 위한 사회정서역량 척도 개발: 문화예술교육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개념적 이해를 위한 핵심 아이디어, 성취기준 및 질문의 연계 제시 방식 비교·분석: 캐나다 온타리오 및 B.C. 주와 싱가포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디지털 교실환경 유형과 학생의 학교생활 : OECD 국가 비교를 중심으로
- OECD 주요국의 고등교육 중·장기 발전 계획과 재정 투자 전략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