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테크놀로지 기반 자기조절 지원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55
- 영문명
-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Technology-based Self-regulation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김혜준 진명화 이주원 박하은 임규연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35권 제2호, 295~32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온라인 학습 맥락에서 테크놀로지 기반 자기조절 지원 처치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자기조절 지원 도구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Web of Science와 Scopus에서 2012년부터 2022년 9월까지 발표된 논문 중 기준에 부합하는 총 33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그 가운데 1편은 다수의 연구 사례를 포함하고 있어, 이를 반영한 총 35건의 연구 사례 수를 바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테크놀로지 기반 자기조절 지원의 전체 효과 크기, 종속변인별(인지, 정의, 자기조절) 효과 크기, 자기조절의 하위요인별(인지 조절, 메타인지 조절, 행동 조절, 동기 조절) 효과 크기, 조절변인별(지원 대상, 지원 유형, 지원 목적, 개별화의 유무)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테크놀로지 기반 자기조절 지원의 전체 효과 크기는 0.49로 중간 정도의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종속변인의 속성 관련하여 인지적 영역과 자기조절에서 다소 작은 효과 크기를, 정의적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효과 크기를 보였다. 자기조절의 하위요인으로는 행동 조절과 메타인지 조절에서 다소 작은 효과 크기
를, 인지 조절과 동기 조절에서 작은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변인 중 지원 유형과 처치의 개별화 여부에 따른 효과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지원 유형은 시스템, 대시보드, 복합적 지원, 프롬프트 순으로 효과 크기가 크게 나타났으며 개별화된 지원을 제공하는 도구가 그렇지 않은 도구보다 큰 효과 크기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테크놀로지 기반 자기조절 지원 처치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기조절 지원 도구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to explore the effects of technology-based self-regulation interventions in online learning and to provide insights for designing self-regulation support tools.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33 studies published from 2012 to September 2022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and one of the studies conducted three experiments resulting in 35 effect sizes in total. This study calculated the effect sizes of overall technology-based self-regulation support, dependent variables, sub-factors of self-regulation, and moderating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echnology-based self-regulation support was 0.49, indicating a moderate effect size. Second, among the dependent variables, slightly small effect sizes were shown in the cognitive
and self-regulation variables, while the effect size of the affective variable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Third, among the moderating variables, support types and personalized intervention reached statistical significance. By support types, the effect size was larger in the order of the system, dashboard, mixed support, and prompt. Interventions providing personalized support had a larger effect size than those that did not. In conclusion,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effects of technology-based self-regulation support using a meta-analysis, which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self-regulation support too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상 시뮬레이션 학습자의 인지부하와 정서를 분석하기 위한 표정 분석 및 뇌전도의 활용
- 중등교육에서 학습전략과 과제수행동기의 산문파지 효과
-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와 실행 전략 개발:긍정탐색을 활용하여
- 테크놀로지 기반 자기조절 지원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성취동기 프로파일과 노력조절 및 인지적 참여에서의 차이
- 2022 개정 교육과정 관련 학교교육과정에서 강화될 영역에 대한 요구 분석: 잠재적 디리클레 할당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 온라인 직무교육에서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 학습자요인 분석 커리어컨설턴트를 중심으로
-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학습지원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따른 학업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 중등 교육 개선을 위한 사회정서역량 척도 개발: 문화예술교육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개념적 이해를 위한 핵심 아이디어, 성취기준 및 질문의 연계 제시 방식 비교·분석: 캐나다 온타리오 및 B.C. 주와 싱가포르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디지털 교실환경 유형과 학생의 학교생활 : OECD 국가 비교를 중심으로
- OECD 주요국의 고등교육 중·장기 발전 계획과 재정 투자 전략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