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교육과정 관련 학교교육과정에서 강화될 영역에 대한 요구 분석: 잠재적 디리클레 할당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121
- 영문명
- Analysis of Needs for Areas to Be Strengthened in the School Curriculum Related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김대석 박우식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35권 제2호, 223~24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부가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준비하면서 다양한 의견 수렴을 반영하기 위하여 실시한 국민 참여 온라인 토론방의 내용 중 ‘학교교육과정에서 강화되어야 할 교육’을 중심으로 주요 주제 토픽을 분석하였다. 설문방식은 학교교육과정에서 강화될 영역에 대하여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는 방식이다. 잠재적 디리클레 할당모형(LDA)는 토픽모델링에 많이 사용되는 알고리즘이며 비정형 텍스트에서 토픽을 추출하기 용이하다. 분석도구로 Python konlpy 라이브러리, R의 lda, LDAvis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LDA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로서 복잡도(perplexity) 변화율과 토픽간 거리 지도에 기반한 최적의 토픽 개수(best k)는 6개로 분석되었다. 6개 토픽의 주요 주제와 내용을 분석하면 크게 2가지로 구분되는데, 첫째는 미래사회를 대비하여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화될 필요가 있는 영역에 대한 요구(토픽)로서 여기에는 인공지능 교육 강화, 디지털 역량 및 문제해결 역량 강화, 정보교육의 강화와 개선이 포함된다. 토픽 1, 2, 5가 여기에 해당된다. 둘째는 현재의 삶과 인성 회복을 위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화될 필요가 있는 영역에 대한 요구(토픽)로서 여기에는 진로 및 직업교육 강화, 인성·민주시민· 인권교육의 강화, 행복한 삶을 위한 가정교육 확대 등이 포함된다. 토픽 3, 4, 6이 여기에 해당된다. 국민 참여 의견조사가 조사에만 그치지 않고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토픽들이 교육과정 실행에 반영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main topics of the survey related to ‘Which areas should be strengthened in the school curriculum related to 2022 revised curriculum?’. This survey is one of the online discussion forum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collect public opinions while preparing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survey method is that individuals freely express their opinions about areas needed to be strengthened in the school curriculum.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which extracts potential topics from respondents' descriptions. LDA is an algorithm widely used for topic modeling, and it is easy to extract topics from unstructured tex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est number of topics(best k) based on the change rate of perplexity and inter-topic distance map was 6. Analysis of the six topics can be summarized into two main categories. The first is the demand for areas that need to be strengthened in school curriculum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society. Topics 1, 2 and 5 fall into this category. The second is the demand areas that need to be enhanced in the school curriculum for current living and character restoration. Topics 3, 4 and 6 fall into this category. We hope that the topics derived from the research results will not only end with opinion surveys, but will be well reflect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상 시뮬레이션 학습자의 인지부하와 정서를 분석하기 위한 표정 분석 및 뇌전도의 활용
- 중등교육에서 학습전략과 과제수행동기의 산문파지 효과
-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와 실행 전략 개발:긍정탐색을 활용하여
- 테크놀로지 기반 자기조절 지원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성취동기 프로파일과 노력조절 및 인지적 참여에서의 차이
- 2022 개정 교육과정 관련 학교교육과정에서 강화될 영역에 대한 요구 분석: 잠재적 디리클레 할당모형 분석을 중심으로
- 온라인 직무교육에서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 학습자요인 분석 커리어컨설턴트를 중심으로
-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학습지원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따른 학업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 중등 교육 개선을 위한 사회정서역량 척도 개발: 문화예술교육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