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온라인에서의 글 수정전략과 성찰저널 작성 여부가 대학생의 글 수정과 글쓰기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
- 영문명
- Effect of Collaborative Revision and Reflective Journal on University Students' Online Writing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전향진 김광수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6권 제2호, 145~16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환경에서 글 수정전략으로의 협력적 수정과 성찰저널의 작성이 대학생의 글쓰기, 구체적으로 글의 수정 빈도와 글의 질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생 72명을 대상으로 5주차에 걸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처치조건에 따라 네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온라인 환경에서 주어진 주제로 글의 작성 단계를 따라 글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환경에서의 협력적 수정은 글의 수정 빈도에는 영향을 미쳤으나, 글의 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성찰저널의 작성은 글의 수정 빈도와 글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협력적 수정과 성찰저널의 작성, 두 독립변수 간의 상호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와 논의에 따라 작문교육의 실제와 미래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collaborative revision and writing reflective journal on University students' online writing, more specifically on students' revision frequency and the quality of students' final writing. An experiment was implemented on 74 university students. They were assigned randomly to 4 treatment conditions. The experiment lasted 5 week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ollaborative revision increased the students' revision, but it did not affect the quality of students' final writing. Writing reflective journal did not have any effect on any dependent measures employ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is study did not find any interaction effect of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on any dependent variable. Possible explanations of the results have been discussed in the context of related studies and related theorie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suggest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온라인 토론 유형이 비판적 사고기능의 개발과 인지적 참여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
- 다운증후군 아동에 대한 단기기억 맞춤 프로그램의 읽기학습 효과
- 명화감상을 통한 유아의 철학적 탐구공동체 수업 모형 개발
- 학습 컨설팅 프로그램이 전문대학 학생의 자기조절 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온라인에서의 글 수정전략과 성찰저널 작성 여부가 대학생의 글 수정과 글쓰기에 미치는 효과
- 창의, 인성, 봉사 그리고 창의적 체험활동
- 4, 5세 유아의 지능과 그리기 표상능력간의 관계
- 개별적 배려, 내적 동기, 도전적 직무, 자원, 창의성 및 업무성과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