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4, 5세 유아의 지능과 그리기 표상능력간의 관계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lligence and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of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김형재 홍순옥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6권 제2호, 99~11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4, 5세 유아의 지능과 그리기표상능력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4세 33명과 5세 35명, 총 68명으로 이들의 간편형 지능을 측정하였고, 직선 및 곡선으로 이루어진 입체 집 모형과 집 사진을 보여주고 보이는 데로 그리게 한 후 세부묘사 평가표를 근거로 이들의 그림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유아의 전체지능 및 동작성 지능과 그리기표상능력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지만 언어성 지능은 관련이 없었다. 지능하위요인을 살펴보면, 4세는 토막짜기와, 5세는 모양 맞추기와 그리기표상능력이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전체 지능 및 동작성 지능이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지능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토막짜기가 그리기표상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이 지능, 특히 동작성 지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intelligence and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from 4 to 5 ages. The subjects were 68 young children(33 four-year-olds and 35 five-year-olds) from a daycare center in Busan, Korea. Each child was asked to draw the house which they see, the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models of house with straight or curves lines, and also tested by a short form of K-WPPSI. Each drawing was scored based on 'rating table of detail descriptions'.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intelligence & geometric intelligence and drawing represent ational ability but wasn't relationship between verbal intelligence and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erformance intelligence, especially geometric intelligence is the predict variables to have influence on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of young childre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온라인 토론 유형이 비판적 사고기능의 개발과 인지적 참여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
- 다운증후군 아동에 대한 단기기억 맞춤 프로그램의 읽기학습 효과
- 명화감상을 통한 유아의 철학적 탐구공동체 수업 모형 개발
- 학습 컨설팅 프로그램이 전문대학 학생의 자기조절 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온라인에서의 글 수정전략과 성찰저널 작성 여부가 대학생의 글 수정과 글쓰기에 미치는 효과
- 창의, 인성, 봉사 그리고 창의적 체험활동
- 4, 5세 유아의 지능과 그리기 표상능력간의 관계
- 개별적 배려, 내적 동기, 도전적 직무, 자원, 창의성 및 업무성과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초등학생 진로성숙도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