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 컨설팅 프로그램이 전문대학 학생의 자기조절 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6
- 영문명
- The Effect of Learning Consultation Program on Junior Colleg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형정은 정명화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6권 제2호, 25~4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이 전문대학 학생의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의 D전문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3월 15일부터 5월 24일까지 1시간 30분씩 총 9회의 직접컨설팅과 60분씩 총 1회의 간접컨설팅으로, 직접컨설팅과 간접컨설팅이 통합된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함께 사용한 혼합설계연구이다. 양적연구로는, 첫째, 자기조절학습 설문지를 사전·사후에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paired sample) t-test를 실시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파악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후의 연구 대상의 전체평균평점을 조사하였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paired sample)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연구로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과의 FGI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에 참가한 전문대학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에 참가한 전문대학 학생들의 학업성취수준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도 분석 결과 학습기술 전략 습득 및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학습법 평가에 도움이 되었지만 학습습관을 형성하기 위한 노력과 학습장애요소 제거 노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FGI 내용 분석 결과 자기조절학습을 습관으로 형성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의 실시가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 of "learning consultation program" on for the college students'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program will be proceed by the combination of direct consultation and nine times of indirect consultation, so called "integrated learning consultation". This study was used 'mixed-design study'. First of all quantitative approach was used: First, self-regulated learning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n, the paired sample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Second, to underst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ubjects, grade point averages (GPA)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examined by using the paired sample t-test. Third,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satisfaction surveys. For qualitative approach, FGI about the program had been made for the accurate jud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several aspects to consider. First, the lev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of students participating the program were significantly lower. Second, subjects’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hird, the analyzed results of the satisfaction surveys acquired learning strategy and evaluating current learning skill were useful, but effort for learning skill and learning disability was not enough to fulfill the demand. Last, analyzing the contents of FGI showed that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self-regulated learning skill, because it needs a certain amount time to make it as habbit. With these results of the study, the paper provides the discussion of the effects for the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by processing the program.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온라인 토론 유형이 비판적 사고기능의 개발과 인지적 참여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
- 다운증후군 아동에 대한 단기기억 맞춤 프로그램의 읽기학습 효과
- 명화감상을 통한 유아의 철학적 탐구공동체 수업 모형 개발
- 학습 컨설팅 프로그램이 전문대학 학생의 자기조절 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온라인에서의 글 수정전략과 성찰저널 작성 여부가 대학생의 글 수정과 글쓰기에 미치는 효과
- 창의, 인성, 봉사 그리고 창의적 체험활동
- 4, 5세 유아의 지능과 그리기 표상능력간의 관계
- 개별적 배려, 내적 동기, 도전적 직무, 자원, 창의성 및 업무성과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