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명화감상을 통한 유아의 철학적 탐구공동체 수업 모형 개발
이용수 15
-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for the Early Childhood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through Masterpiece Appreciation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이정미 김회용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6권 제2호, 73~9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명화를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새로운 매체로 채택하여 유아에게 적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철학적 탐구공동체 수업은 유아의 사고력 함양에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알려져 왔지만, 좀 더 효과적인 실시를 위해서는 철학적 가치가 담겨있으면서도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보다 다양한 학습 내용 및 방법의 개발 필요성이 요청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적인 요소, 인류의 역사, 문명, 사상, 사건 등을 담고 있는 명화라는 소재를 활용하여 유아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는 새로운 형태의 철학적 탐구공동체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관련 연구를 토대로 유아를 위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1차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전문가들의 검토를 거쳐 수업모형을 수정하였다. 수정된 모형을 부산광역시 소재 유치원 학생 28명을 대상으로 적용하고, 철학적 탐구공동체 전문가와 수업을 참관한 유아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명화감상을 통한 유아의 철학적 탐구공동체 수업 모형을 최종 개발하였고, 토론 계획, 명화 제시, 토론 주제 선정, 토론 진행, 토론 마무리, 이야기 만들기의 수업 순서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instructional model for the early childhood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through masterpiece appreciation. Although we have known the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is a good methodo- logy for developing infant's thinking faculty, it has not been used very actively and widely in Korea. To facilitate this program more effectively and systematica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much better and more various texts and teaching methods which contain philosophical values than those of current used programs.
First, this study developed a new primary instructional model for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using masterpiece contains beauty, history, culture, idea of mankind to attract children's interest and curiosity. And then the modified program by experts on this field was applied to 28 children of an public kindergarten in Pusan for 3 weeks. The final program was fixed after doing focus group interview with a professor, 2 peer teachers and 2 senior students of universities majoring in this field about the applied teaching program using masterpiece. The procedures of this final program are as follows; preparing discussion, offering masterpiece, deciding and discussing the subject for dialogue, finishing discussion and making stori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온라인 토론 유형이 비판적 사고기능의 개발과 인지적 참여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
- 다운증후군 아동에 대한 단기기억 맞춤 프로그램의 읽기학습 효과
- 명화감상을 통한 유아의 철학적 탐구공동체 수업 모형 개발
- 학습 컨설팅 프로그램이 전문대학 학생의 자기조절 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온라인에서의 글 수정전략과 성찰저널 작성 여부가 대학생의 글 수정과 글쓰기에 미치는 효과
- 창의, 인성, 봉사 그리고 창의적 체험활동
- 4, 5세 유아의 지능과 그리기 표상능력간의 관계
- 개별적 배려, 내적 동기, 도전적 직무, 자원, 창의성 및 업무성과의 구조적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