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과 창의성 : 시각적 사고를 중심으로
이용수 4
- 영문명
- Art and Creativity : Focusing on Visual Thinking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이모영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2권 제2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과 창의성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미술의 인지심리학적 기초를 제공하는 시각적 사고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오래전부터 미술은 창의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관련성의 근거로 미술활동의 창조적이고 자유로운 개방적 특성이 언급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미술활동 자체가 창의성을 향상 시키는 조건 이외에 미술의 어떤 인지적 과정이 창의성을 증진시키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이론적 측면에서는 물론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의가 있다. 그래서 시각적 사고의 개념에 기초하여 미술의 어떤 인지적 특성이 창의성을 증진시키는지를 분석하였다. 우선 시각적 사고는 시각적 이미지를 매개로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개념에 의한 논리적 사고에서 나타나는 순차적 처리에 의해 유발되는 알고리즘의 기계적인 사용을 억제함으로써 사고의 유연성을 층가시킨다. 또한 시각적 사고는 동시적이고 전체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인지적 과정에 의해 전체 장면에서 작용하는 요소들 간의 역동적인 관계성을 파악하여 서로 관련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던 기존의 사실들 간에 유용한 관계나 유사성의 발견을 가능하게 한다. 시각적으로 사고하는 인식의 한 방식으로서 미술은 마음속에 참재하는 자발적인 창조적 요구를 자극하고, 사물을 탐구하고 발견하는 창의적 인식능력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theoretically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creativity to art on the basis of the concepts of visual thinl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이주배경 학생을 위한 IBDP의 가능성과 한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인용하기
APA
이모영. (2006).미술과 창의성 : 시각적 사고를 중심으로. 사고개발, 2 (2), 1-20
MLA
이모영. "미술과 창의성 : 시각적 사고를 중심으로." 사고개발, 2.2(2006):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