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교과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체계 개발
이용수 312
- 영문명
- Development of AI·Digital Competency Structure for Art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전수연 고홍규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86집, 103~12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맞춰 교수학습방식의 근본적인 변화가 요구되며, 공교육에서도 이에 맞는 노력이 필요하다. AI를 활용한 학습자 맞춤형 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교원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달라져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교과 예비·현직교원 AI·디지털 역량 체계를 개발하는 데 있다.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AI·디지털 시대 미술교육의 변화, AI·디지털 시대 미술 교사의 역량과 관련된 문헌을 살펴보고 미술교과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체계 구축 방법 등에 대해 논하였다.
미술교과 예비·현직교원 AI·디지털 공통역량 및 행동지표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자문을 진행하였고, 전문가 자문 결과를 토대로 수정 방안을 반영하여 미술교과 예비·현직 교원의 AI·디지털 역량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교과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체계를 개발함으로써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미술교과 교원의 역량은 무엇인지 점검하고 탐색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digital transformation requires a fundamental shift in teaching and learning, and public education needs to keep up this transformation.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teachers need to change in order to practice learner-customized education using A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I-digital competency structure for prospective and current art teachers.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related to AI-digital competencies of teachers, changes in art education in the AI-digital era, and competencies of art teachers in the AI-digital era, this study discusses how to build an AI-digital competency structure for art teachers.
Expert consultation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content validity of the AI-digital common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of art teachers, and the AI-digital competencies of art teachers were derived by reflecting the modification pla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t consultation. Lastly, policy implications and follow-up research are suggest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explore the competencies of art teachers required in the future society by developing an AI and digital competency structure for art teacher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미술교과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체계
Ⅳ. 미술교과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정의와 행동지표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고전 회화기법을 활용한 미술대학 서양화 실기 교과 연구 - 템페라 기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T. J. 디모스와 창의적 생태 센터의 활동 - 기후변화 시대 시각예술의 연구, 교육, 큐레토리얼 실천
- 고교학점제에서의 진로 탐색 미술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공동 주체성(co-agency)의 가능성과 한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