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놀이교수 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59
- 영문명
- The influence in infant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upon teacher-infant interaction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김현남 방은영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8권 제1호, 119~13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공감능력, 놀이교수 효능감,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공감능력과 놀이교수 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아반 교사 294명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빈도 분석과 상관 분석 및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놀이교수 효능감, 교사-영아 상호작용 변인들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놀이교수 효능감은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을 46% 정도 설명하였고, 공감능력과 놀이교수 효능감 모두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 모두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놀이교수 효능감 요인 중 놀이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이 교사-영아의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현장에서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영아교사의 내적 요인인 공감능력과 놀이교수 효능감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국가차원의 지원방안 마련을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rrelation among infant teachers empathy ability &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toddler interaction and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empathy abil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upo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o this end, frequency analysis, correla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using the questionnaire materials of 294 infant class teachers who are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where are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in all variables of infant teachers empathy ability &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toddler interaction. Second, it is shown that infant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play-teaching efficacy are positively related to teacher-toddler interaction and the two factors explain 46% of the interaction.
It was predicted that both the cognitive empathy and the affective empathy, which are factors of empathy ability,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teacher-toddler interaction and that a belief in play teaching efficacy among factors of play teaching efficacy has a meaningful positive impact on the teacher-toddler interac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 national support plan is expected to be arranged that divers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re developed to promote the empathy ability and the play teaching efficacy, which are internal factors of infant teachers, and can be actively used at a child care site, in order to devis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eacher-toddler interaction at a child care cent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재학 중 진로준비행동 유형과 노동시장 성과 간의 관계
- 직업계고 교사의 중등직업교육 지원 사업에 관한 만족도 및 요구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제도의 고용효과 분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