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한 분구묘의 기원과 성립시점

이용수 458

영문명
Origin and Establishment Period of Mahan Mounded Tombs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김승옥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6집, 35~6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마한 분구묘의 연구에서 개념과 용어, 분포와 출토유물, 시공간상의 전개과정 등 상당한 부분이 아직도 베일에 가려져 있고, 그 실체에 대해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이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논쟁은 분구묘의 기원과 성립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최근 자료와 기존 자료의 검토를 통해 마한 분구묘의 기원과 성립시점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먼저 성립기 마한 분구묘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구릉 정상 입지·독립 분포·방형계 평면 형태와 단(인)장·수석리와 송국리문화 유물 부장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마한 분구묘는 서해안 일대의 수석리문화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이후 서해안을 따라 남과 북으로 전파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성립 1기). 또한 수석리와 송국리의 융합문화나 내륙지역의 송국리문화에서도 성립 1기의 분구묘 전통을 수용하여 지역 내 독특한 분묘 전통을 건설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성립 1기의 마한 분구묘 전통은 만경강 일대에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 연대는 기원전 3~2세기경으로 이해된다. 기원 전후에 시작되는 성립 2기에 이르면 만경강 일대의 분구묘 전통이 점차 쇠퇴하고 영산강 일대가 새로운 중심지로 부상하게 된다. 또한 성립 1기에 분구묘 전통이 거의 보이지 않던 한강 하류권과 아산만권 일대에 분구묘가 활발하게 축조되는데, 이는 역삼동문화 집단이 서해안 일대의 분구묘 전통을 수용한 결과로 추정된다. 따라서 마한 분구묘는 ‘수석리문화에서 발생하여 이후 지역에 따라 다원적으로 전개되었다’고 요약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concept and terminology, distribution and excavated artifacts, and spatial-temporal development process of Mahan mounded tombs is still uncertain to a large extent, and the substance of the tomb continues to be debated. Among these topics, the most significant discussion concerns their origin and establishment. This article examines the origin and establishment period of the Mahan mounded tombs using recently discovered materials, in addition to the pre-existing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han mounded tombs of the establishment period feature common characteristics, such as being situated on hilltops, being independently placed, of having a square-planar form, of containing single-individual interments, and of yielding Suseok-ri and Songguk-ri culture grave goods. The tombs are highly likely to have emerged independently in the Suseok-ri culture area along the western coast, and from there spread along the coastline (Establishment Period Phase 1). It is also assumed that the culture that emerged from the fusion of the Suseok-ri and Songguk-ri cultures, or the Songguk-ri culture of the inland region may have adopted the tomb tradition of this Establishment Period Phase 1 to form a unique regional tomb tradition. This Mahan mounded tomb tradition in the Establishment Period Phase 1 most likely emerged in the Mangyeong River region, and can be dated to the 3rd to 2nd centuries BCE. The mounded tomb tradition in the Mangyeong River region gradually declined, and the Yeongsan River region emerged as a new center by the Establishment Period Phase 2, dating to around the turn of the millennium. Additionally, an increase in tomb construction could be observed in the lower reaches of the Haan River region and in the Asan Bay region, areas where tomb construction was hardly seen during Establishment Period Phase 1. This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the Yeoksam-dong culture’s acceptance of the mounded tomb tradition from the West Sea coastal region. In summary, it can be argued that the Mahan mounded tombs originated from the Suseok-ri culture and developed pluralistically, in each region.

목차

Ⅰ. 머리말
Ⅱ. 기원과 성립시점을 둘러싼 논쟁
Ⅲ. 물질문화의 기원과 변화에 관한 이론적 검토
Ⅳ. 분구묘 성립기 주요 유적의 검토
Ⅴ. 성립기 분구묘의 특징과 기원, 그리고 출현시점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승옥. (2023).마한 분구묘의 기원과 성립시점. 한국고고학보, (), 35-65

MLA

김승옥. "마한 분구묘의 기원과 성립시점." 한국고고학보, (2023): 35-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