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 사비도성의 도시 공간 기초연구

이용수 695

영문명
Basic Research on the Ancient Urban Space of Baekje’s Sabi Captital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이성준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6집, 89~12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백제 사비도성 건설의 마스터플랜을 재해석하기 위해 실시한 기초단계의 성과이다. 도성의 건설시점, 초기 왕궁의 위치, 구아리 정방형 평면구획 등 선행연구의 주요 쟁점들과 관련 근거들을 살펴보았고, 지형과 환경을 복원한 사례들에 대해서는 방법론의 유용성 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고고학적으로 유의미한 도성 내부의 지표면을 선정하였으며, 측량정보공학의 등고선 자동화 방법을 이용하여 등고선을 생성하였고, 통계학적 방법으로 거주 구역의 편차와 경향성도 파악하였다. 도성의 기반 시설이 상당한 수준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천도가 단행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이겠지만, 부소산성과 정림사지 등이 천도 무렵 완공되었다는 가설의 근거가 되었던 유물들의 실제 출토맥락을 검토해 보면, 천도 당시의 상황을 재구성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관북리에 7세기 이전의 왕궁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은 초기 왕궁의 위치를 이동과 확대의 관점에서 검토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성의 단위구획으로 제시된 구아리 정방형 평면구획이 20세기 초 개설된 신작로와 결부될 수 있다는 점도 유념해 볼 필요가 있다. GIS의 공간통계기법들이 부족한 정보의 한계를 보완하는 데 효율적인 것은 분명하겠지만, 기준정보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비도성 내부의 백제시대 지표면을 파악하기 위해 4가지의 선정 기준을 마련하였고, 87개 유적에서 252건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재 부여읍 내 시가지 일대의 약 38만m2가 저지대로 파악되었고, 관북리의 왕궁 관련 시설들이 인접 지역보다는 최대 10m 정도 높은 지대에 건립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특징들을 종합해 볼 때, 대규모의 토목공사로 관북리와 정림사지 일대의 권위가 주목받을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도성의 중심 지역에 구현되고 있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presents the results of the basic study that was conducted in order to reinterpret the master plan that had been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Baekje’s Sabi Capital. The main issues and related foundations of previous studies, such as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capital city, the location of the initial royal palace, and the square plan of Guari, were reviewed, and cases of the restoration of topography and environment were also reviewed, focusing on the usefulness of the subject of analysis and research method. In addition, the archaeologically significant sections of the paleo-surface of the Baekje period inside the capital city were selected, and contour lines were created using the automated contour line method of surveying information engineering. Regional deviations and trends of the excavated residential area were identified using statistical methods. Four selection criteria were establish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paleo-surface of the Baekje period inside Sabi Capital, and location data of 252 locale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from 87 sites. As a result, about 380,000m2 of the current urban area in Buyeo-eup was identified as low-flat lan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ilities related to the royal palace in Gwanbuk-ri were built on land up to 10m higher than the adjacent areas.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optimal environment was establish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capital city so that the authority of Gwanbuk-ri and the Jeongnimsa Temple area, where large-scale civil engineering had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raise the site, could draw atten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사비도성 연구의 주요 쟁점 검토
Ⅲ. 사비도성의 지형 및 환경복원 사례 검토
Ⅳ. 사비도성의 지형과 주요 특성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준. (2023).백제 사비도성의 도시 공간 기초연구. 한국고고학보, (), 89-121

MLA

이성준. "백제 사비도성의 도시 공간 기초연구." 한국고고학보, (2023): 89-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