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어학습부진 중학생의 학습자 요구 분석

이용수 213

영문명
Needs Analysis of Middle School Underachieving English Language Learners
발행기관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저자명
조형숙 사연희
간행물 정보
『교육발전』제42권 제4호 특별호, 1041~105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어학습부진아를 지도할 수 있는 역량 배양을 목적으로 설계된 ‘영어학습부진아 이해와 지도’ 과목의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영어학습부진 중학생의 학습자 요구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영어 학습에 대한 7개 영역의 14개 문항을 5점 리커트 척도로 설계하여 수준별 수업을 진행하는 재단 내 산하 중학교의 영어 기초반 학생을 대상으로 2022년 11월과 12월에 걸쳐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응답자 32명의 응답에 의하면, 모르는 단어를 발음대로 읽는 학습, 4 단어 이상의 복잡하고 긴 영어 어구 학습, 짧고 간단한 영어 문장 학습은 1∼3학년 공통적으로 가장 배우고 싶어 하였다. 반면, 1학년 학생은 영어 알파벳 쓰기와 영어 자음과 모음 등의 발음 학습을 원하지 않았고, 2∼3학년 학생은 영어 알파벳 쓰기, 영미문화 학습 및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을 가장 원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각 학년마다 영어 알파벳 쓰기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응답자의 비율은 23.5∼33.3%로 나타나 학습자별 맞춤식 지도가 필요해 보인다. 마지막으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영어학습부진아 이해와 지도’ 과목의 교육과정 단계별로 반영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도 서술하였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narrow the educational gap in school, the educational needs of middle school underachieving English language learners (U-ELLs) were investigated to improve the curriculum of a course of “Understanding and Guiding of Underachieving English language Learners” in a college of education. During November and December, 2022, the surve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via online for ELL students in low-level classes at a middle school. The final 15 questions were designed with 14 questions (on a 5-point Likert scale) in 7 areas about English learning and 1 question about student’s grade. The responses showed that 32 ELLs wanted to learn 1) pronunciation of unfamiliar words, 2) complex and long English phrases with more than four words, and 3) short and simple English sentences. Meanwhile, 1st grade ELLs were not interested in learning English alphabet writing and the correspondence between English alphabets and sounds. 2nd and 3rd grade ELLs were not interested in learning English alphabet writing, British and American cultures, and TEE. The participating ELLs did not want to learn English alphabet writing, but 23.5∼33.3% of the respondents wanted to learn English alphabets, which seems that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prepared to teach U-ELLs with customized pedagogy. Finally, the researchers suggested how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 eduction and added the study limit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배경 및 목적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한계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형숙,사연희. (2023).영어학습부진 중학생의 학습자 요구 분석. 교육발전, 42 (4), 1041-1054

MLA

조형숙,사연희. "영어학습부진 중학생의 학습자 요구 분석." 교육발전, 42.4(2023): 1041-10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