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가 복합 만성질환 노인 가족 돌봄 제공자의 지각된 만성질환 관리 지지, 건강 문해력, 사회적 지지가 돌봄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37
- 영문명
- Effect of perceived chronic illness management support, health literacy, and social support on the care burden of families caring for older people with multiple chronic conditions at home: A cross-sectional study
- 발행기관
- 한국노인간호학회
- 저자명
- 이은실 김미영
- 간행물 정보
- 『노인간호학회지』제25권 제1호, 76~88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chronic illness management support, health literacy, and social support on the care burden of families caring for older people with multiple chronic conditions at home. Methods: Families of longterm- care-certified older adults living in Seoul, Korea, were included in this descriptive investiga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5 to June 25, 2022. The families of 195 older patients with multiple chronic diseases completed a questionnaire.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care burden was 38.27±14.58.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of the care burden were family support (β=-.29, p<.001), understanding of health information (β=-.28 p=.035), problem solving/contextual (β=-.19, p=.023), subjective health status (β=.15, p=.045), and male (β=.15, p=.045). Their explanatory power was approximately 25%. Conclusion: The use of an integrated chronic disease management program to reduce the burden of caring for older people with multiple chronic diseases at home, which can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health information and help solve health problems, and family support programs is necessary.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가 복합 만성질환 노인 가족 돌봄 제공자의 지각된 만성질환 관리 지지, 건강 문해력, 사회적 지지가 돌봄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독거노인의 자가간호에 미치는 영향요인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치매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Identifying nursing interventions captured in patients with stroke by Korean nursing students: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study
- 종합병원 간호사의 노인간호 스트레스와 노인간호수행과의 관계에서 공감과 회복 탄력성의 조절된 조절효과
- COVID-19 시기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체험
-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한 장기요양 요구 발생 고위험군 선정 방안 연구
- 장기요양기관 내 CCTV 의무 설치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인식 비교
- 요양보호사가 인지한 잔존기능관리에 대한 주관성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