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한 장기요양 요구 발생 고위험군 선정 방안 연구
이용수 198
- 영문명
- The identification of high-risk groups for long-term care insurance: A retrospective study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atabase
- 발행기관
- 한국노인간호학회
- 저자명
- 송미경 박영우 한은정
- 간행물 정보
- 『노인간호학회지』제25권 제1호, 44~55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high-risk groups for Long-Term Care Insurance (LTCI) in older people not approved for LTCI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igh-risk group.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study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atabase and included 7,724,101 older A decision- tree model was used to predict the high-risk groups for LTCI. The dependent variable was defined as LTCI eligibility. As independent variables, 78 variables consisting of personal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health status, and physical and cognitive abilities were used. Results: The prediction model to identify high-risk groups for LTCI was developed as the decision-tree model consisting of 19 end nodes with 10 risk factors. Eleven groups were identified as high-risk groups. The results showed the model could predict about 72% of the older people at high risk for LTCI needs using the NHIS database without the assessment of LTCI eligibility. Conclusion: The findings might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preventative services and can contribute to preemptively discovering those who need preventive services in older adults.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가 복합 만성질환 노인 가족 돌봄 제공자의 지각된 만성질환 관리 지지, 건강 문해력, 사회적 지지가 돌봄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독거노인의 자가간호에 미치는 영향요인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치매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Identifying nursing interventions captured in patients with stroke by Korean nursing students: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study
- 종합병원 간호사의 노인간호 스트레스와 노인간호수행과의 관계에서 공감과 회복 탄력성의 조절된 조절효과
- COVID-19 시기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체험
-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한 장기요양 요구 발생 고위험군 선정 방안 연구
- 장기요양기관 내 CCTV 의무 설치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인식 비교
- 요양보호사가 인지한 잔존기능관리에 대한 주관성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