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치매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용수 248
- 영문명
- Factors associated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of older adults in a local community: Application of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A cross-sectional study
- 발행기관
- 한국노인간호학회
- 저자명
- 하은혜 전미양
- 간행물 정보
- 『노인간호학회지』제25권 제1호, 34~43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the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of older adults living in the community by adding fear of dementia to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Metho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10~31, 2019 b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202 older people aged over 65 living in the community. The data was analyzed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d Bootstrapping by using SPSS/WIN 24.0.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shown that factors associated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were age, social support, self- efficacy, and fear of dementia, which explained 20.9%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F=13.01, p<.001).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dementia fear by using Bootstrapping metho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entia knowledge, dementia attitude, social support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based on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showed that indirect effects. Conclusion: When an effective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program is developed and provided for improving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and for reducing fear of dementia based on the results, it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for older adults.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가 복합 만성질환 노인 가족 돌봄 제공자의 지각된 만성질환 관리 지지, 건강 문해력, 사회적 지지가 돌봄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독거노인의 자가간호에 미치는 영향요인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치매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Identifying nursing interventions captured in patients with stroke by Korean nursing students: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study
- 종합병원 간호사의 노인간호 스트레스와 노인간호수행과의 관계에서 공감과 회복 탄력성의 조절된 조절효과
- COVID-19 시기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체험
-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한 장기요양 요구 발생 고위험군 선정 방안 연구
- 장기요양기관 내 CCTV 의무 설치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인식 비교
- 요양보호사가 인지한 잔존기능관리에 대한 주관성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