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방문요양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제공환경 만족도와 직무열의에 관한 연구

이용수 80

영문명
A study on the service provision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job enthusiasm of caregivers in home visit care
발행기관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저자명
배혜원 김태은 강은진
간행물 정보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제14권 제2호, 13~22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방문요양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제공환경 만족도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수급자의 주거환경이자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제공환경 개선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분석자료로는 2020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된 ‘방문요양제공자의 서비스 환경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초통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요양보호 서비스 제공환경 만족도가 요양보호사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β=.172, p<.000)가 높을수록 직무열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급자 및 보호자와의 관계 만족도(β=.192, p<.000)와 주거설비(β= .331, p<.001) 만족도가 높을수록 요양보호사의 직무열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거공간내의 면적이나 이동공간의 충분성 등은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하는 수급자의 주거환경 개선은 수급자의 독립적인 생활 영위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열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수급자의 주거환경 개선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양성이 필요하고, 이외에 수급자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최소한의 가이드라인, 우선순위 설정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recipients and the service provision environment of caregivers by identifying the effect of home visit care providers' service provision environment satisfaction on their job enthusiasm. Methods : As analysis data, the data of the ‘Survey on the Service Environment of visit home Care Providers’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2020 was used. A basic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the environment for providing care services for caregivers. Results :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aregivers, the high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higher the enthusiasm for the job. In addi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ipient and the caregiver,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housing facilities, the higher the job enthusiasm of the caregiver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area within the residential space or the sufficiency of the moving space did not affect the job enthusiasm. Conclusion :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that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recipients who use long-term care service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job zeal of caregivers who provide services as well as independent living of recipi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nurture professional manpower who can manage the improvement of the recipient's living environment in an integrated way. In addition, there should be a continuous discussion on the setting of minimum guidelines and priorit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cipient's living environ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혜원,김태은,강은진. (2022).방문요양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제공환경 만족도와 직무열의에 관한 연구.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14 (2), 13-22

MLA

배혜원,김태은,강은진. "방문요양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제공환경 만족도와 직무열의에 관한 연구."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14.2(2022): 13-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