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학생 아버지 자조모임 운영 사례와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57
- 영문명
- A Study on Cases of Operation of Self-help Groups for Fathe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ctivation Pla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오세철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5권 제4호, 95~11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 장애자녀 아버지 자조모임 사례의 시작과 성장·발전과정 그리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아버지 자조모임에 4년여 이상 정회원으로 참여한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2회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을 통해 자조모임 결성과 추진동력, 자조모임 활동 프로그램, 자조모임 참여 후 변화, 미래 활성화 방안의 4개의 중분류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성 시 자조모임에 대한 이해가 없고 모델도 거의 없어 어려움이 있었으나 전문가의 조력과 임원들의 열성으로 모임을 결성할 수 있었다. 둘째, 자녀와 가족 중심의 활동, 예비특수교사의 참여, 지역사회 사업 참여가 자조모임의 성장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셋째, 자조모임 활동을 통해 아버지 자신, 장애가 있는 자녀, 부부 관계, 지역사회 장애학생가족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다. 넷째, 지속가능한 자조모임을 위해 아버지 자조모임 홍보, 아버지 역량강화, 전문가 자원 및 재정적 자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beginning, growth, and development process, and revitalization plan of the case of local fathers of disabled children’s self-help group.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with 6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father's self-help group as regular members for more than 4 year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four categories were derived: self-help group formation and driving force, self-help group activity program, changes after participation in self-help group, and future revitalization pla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iculties because there was no understanding of self-help groups and few models at the time of formation. Second, activities centered on children and families, participation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ticipation in local community projec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elf-help groups. Third, self-help group activities changed the perception of fathers themselv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marital relationships, and famil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local community. Fourth, it was found that promoting father's self-help group, strengthening father's capacity, professional resources and financial resources are needed for sustainable self-help groups. Finally,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본 교육과정 재구성에 기반한 스크립트 지도가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국어 교과의 교수적 수정 중요도와 실행역량에 관한 초등 예비일반교사의 인식변화 분석
- 어느 특수교사의 피지컬 컴퓨팅 교구 활용 코딩교육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발달장애 청소년 경제·금융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
- 장애학생 아버지 자조모임 운영 사례와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특수학교 교사의 Wee 클래스 활용 실태와 인식
- 문제해결 중심학습이 예비교사들의 특수교육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 특수교육 및 장애 관련 분야의 회복탄력성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지적장애 학생의 PBFL 수업 적용에 관한 참여 실행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