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어저성취 학생의 중․고등학교 시기 생애목표 유형의 변화와 자기조절학습의 영향 및 삶 만족도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2

영문명
Changes in life Goal Types and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in Korean Language and Life Goals’ Impacts on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Identity
발행기관
한국학습장애학회
저자명
허유성 김민성
간행물 정보
『학습장애연구』제19권 제3호, 111~14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어저성취 학생의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시기의 생애목표의 잠재유형을 탐색하고, 시기별 생애목표의 유형 분류와 시점 간 유형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학습의 효과와 고등학교 2학년 시점에서 생애목표 유형별로 진로정체감과 삶 만족도에서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중1패널의 3차년도와 5차년도 조사에 참가한 학생 중, 중3 시기 국어교과 성적의 하위 33.7%에 해당되는 학생 688명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3 시기와 고2 시기 모두 ‘저관계 평균미달’, ‘관계지향 평균형’, ‘고관계 고목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생애목표 영역에서 관계목표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가장 높았다. 셋째, 중3 시기에서 고2 시기 생애목표의 유형의 전이를 살펴본 결과, 유사한 목표유형으로 이동하는 사례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생애목표 잠재유형 구분에 미치는 자기조절변인의 영향력은 중3, 고2시기 모두 ‘성취가치’만 유의미하였다. 자기조절학습이 생애목표 유형의 전이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고2 시기에 ‘고관계 고목표’ 유형이 ‘저관계 평균미달’이나 ‘관계지향 저성공’ 집단보다 진로정체감과 삶 만족도에서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types of life goals in middle school 3rd grade and high school 2nd year of low-achieving students, and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affecting the type classification of life goals in each period and the type shift between time points and high school At the time of the second year, the difference in career identity and life satisfaction by life goal type was verifi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88 students who were in the bottom 33.7% of the Korean language subject scores in the middle school 3rd year among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3rd and 5th years of the 1st panel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middle school and sophomore years were classified as ‘low-relationship below average’, ‘relationship-oriented average type’, and ‘high-relationship high goal’. Second, in the life goal area,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goal was the highes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how the type of life goal transitions from the middle 3rd to the 2nd year of high school, the percentage of cases moving to a similar goal type was the highest. Fourth, the influence of self-regulation variables on the classification of potential types of life goals was significant only in ‘achievement value’ both in middle school and sophomore year. However, the self-regulated learning facto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ransition of life goal type. Fifth, in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the ‘high-relationship high goal’ type was found to be more positive in career identity and life satisfaction than the ‘low-relationship average’ or ‘relationship-oriented low-success’ group.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유성,김민성. (2022).국어저성취 학생의 중․고등학교 시기 생애목표 유형의 변화와 자기조절학습의 영향 및 삶 만족도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장애연구, 19 (3), 111-143

MLA

허유성,김민성. "국어저성취 학생의 중․고등학교 시기 생애목표 유형의 변화와 자기조절학습의 영향 및 삶 만족도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장애연구, 19.3(2022): 111-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