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WOE(Worked-out Example) 기반 원격 학습 프로그램이 수학 학습부진 학생의 수학 문장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19
- 영문명
- The Effects of a Mathematical Word Problem Program Based on WOE (Worked-out Example) for Underachieving Student
- 발행기관
- 한국학습장애학회
- 저자명
- 손진주 김소희
- 간행물 정보
- 『학습장애연구』제19권 제3호, 85~11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학 학습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WOE 기반 수학 문장제 원격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1학년 3명을 대상으로 12번의 중재로 구성된 WOE 기반 수학 문장제 원격 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 참여자의 수학 문장제 해결 능력은 중재 전, 중재 중, 3주 후에 총 18번 측정되었다.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답안을 참고하여 스스로 학습하는 자율 학습 단계, 답안이 일부 소거된 WOE를 참고하여 교사와의 질의응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보충 학습 단계로 구성되었다. 세 학생 모두 문장제 문제 유형에 숙달하였으며, 중재 및 유지 단계에서 수학 문장제 해결 능력이 향상 및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WOE 기반 원격 학습 프로그램이 수학 문장제의 숙달도와 수학 문장제 해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WOE-based remote learning program for underachieving students on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Thre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eventh grade were selected for their under achievements in math and participated in the WOE-based remote learning program, which was comprised of a total of 12 intervention sessions. The students' abilities to solve math word problems were measured 18 times throughout,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ce stages. The educational program for math word problems used in the study consisted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age, in which students studied and solved problems for themselves by consulting WOEs that were fully presented, and the compensatory learning stage, in which they solved problems by consulting WOE where completion effects were applied and had a Q&A session with their teacher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three participants became proficient with the type of word problems in each session and improved their abilities to solve math word problems after the intervention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a WOE-based remote learning program is effective for the proficiency of math word problems and ability of solving math word problems for underachieving middle school math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