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윤두서의 <채애도(採艾圖)>와 문인정신

이용수 41

영문명
Yun Doo-seo's Chae Ae-do (採艾圖) and Literary Spirit: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Genre painting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백균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71집, 27~4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윤두서의 <채애도>는 그동안 조선후기 풍속화의 범주 안에서 이해되어 왔다. 풍속과 관련된 소재를 다룬 <채애도>를 비롯한 단 네 점의 그림으로 인해 윤두서는 조영석과 더불어 조선후기 풍속화의 발전을 이끈 선구적 역할을 견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그동안 풍속화에 관한 연구는 주로 조선후기에 어떠한 요인으로 인해 풍속화가 탄생하고 유행하게 되었는지, 그 시대정신을 밝히는데 주력하여 왔다. 풍속화란 역사화의 위대한 장르에 대비된 일반인의 작은 삶을 중시한 근대 서구의 유산이다. 그러므로 일반인의 작은 삶의 소중함에 미적 의미를 부여하고, 일상의 삶을 묘사하려는 근대적 시각 없이 출현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조선 풍속화의 연원을 선사시대의 암각화나 고구려 벽화로 추산하거나, 조선 전기 무일도나 빈풍도와 연결하여 이해하는 것 또한 조심해서 접근해야 할 관점이라고 여겨진다. 본문은 <채애도>의 분석을 통하여 문인화풍의 특징으로 알려진 사의(寫意)적 표현을 따르기보다, 절파(浙派)의 표현방법을 적극 수용한 윤두서가 어떻게 문인 정신을 그림에 구현하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조선시대 문인화가의 삶의 태도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Yun Doo-seo's Chae Ae-do (Women Picking Edible Plants) has been appreciated in the context of the late Joseon Dynasty’s genre painting. Including Chae Ae-do, four of Yun’s paintings that depict folk culture placed him on par with Jo Yeong-seok as one of the pioneers in the development of late Joseon Dynasty’s genre painting. Until recently, most of the research on genre paintings focused on the spirit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s effect on the birth and popularity of the art. However, genre painting is indicative of Western modernity that placed importance on the daily life of ordinary people in contrast to the canonization of historical painting. It is difficult to imagine the birth of genre painting without a modernist perspective that granted an unprecedented aesthetic value on the everyday by depicting its precious moments. Therefore, one should approach with caution when tracing the origins of Joseon's genre painting back to prehistoric petroglyphs and Goguryeo’s murals, or understanding it in connection with the early Joseon Dynasty’s Muido and Binpungdo (paintings that depicted the hard life of the common people based on a Confucian scriptu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hilosophy of Joseon Dynasty’s literary painters through Yun Doo-seo, who openly embraced the painting style of the Zhe-school rather than following the typical literary painting style of saui (expressing the spirit of a painter). Through the analysis of Chae Ae-do, this paper examines how Yun Doo-seo maintained the literary spirit in his genre paintings.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백균. (2022).윤두서의 <채애도(採艾圖)>와 문인정신. 미술교육연구논총, (), 27-43

MLA

김백균. "윤두서의 <채애도(採艾圖)>와 문인정신." 미술교육연구논총, (2022): 27-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