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소기업 경영자의 인문학 학습경험에 관한 내러티브적 탐구
이용수 65
- 영문명
- A Narrative Study of Small Business CEO’s Learning Experience of Humanities
- 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 저자명
- 이재남 연지연
- 간행물 정보
- 『Andragogy Today』제25권 제4호, 79~10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경영자들의 인문학 학습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있다. 자기 업무에서 기술적 숙련가로 활동하던 중소기업 CEO들이 인문학 학습과정을 거치면서 성찰적 실천가(Schon, 2018)로 발전하는 과정을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연구방법으로 탐색하였다. 연구를 위해 H인문학 학습과정에 참여한 중소기업경영자 3명에 대하여 심층 면담, 전화 면담, 출판물 조사, 현장 방문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Bedford와 Landry(2010)가 제시한 내러티브 분석과정에 따라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내러티브의 삼차원 공간 내에서 분석하였다. 이들은 폭넓은 독서와 다독을 통한 ‘알아가기’ 과정을 거치고, 새로운 전문분에 대한 ‘대안찾기’ 학습과정을 거친 후에 ‘본질탐구’의 과정을 거쳐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문학 학습경험의 결과로 ‘인생관’, ‘경영관’, 사회적 책임의식의 확장과 실천‘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 학습경험의 통합적 의미를 살펴보면 그 내용들이 타인 존중, 공동체 구축, 정직성 표출, 정의감 표출, 타인을 위한 봉사로 나타나는 윤리적 리더십 개발의 과정과 연계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중소기업의 경영전략과 조직문화 변화를 위한 성과 향상 전략에 인문학 학습프로그램이 적극 고려될 필요가 있다고 보아지며, 윤리경영, ESG 경영 등 새로운 경영환경에 대처하는 전략으로 인문학 학습프로그램의 활용을 적극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이를 위하여 인문학 프로그램의 패러다임의 확장과 기존의 프레임을 깨는 혁신적인 사고에 도움이 되는 프레임구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humanities learning experiences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managers. Clandinin and Connelly (2000)'s narrative research method explored the process by which small and medium-sized CEOs, who were active as technical experts in their work, progress to reflective practitioners (Schon, 2018) through the humanities learning process.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elephone interviews, publication surveys, and field visits from three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managers who participated in the H humanities study course. Accordingly, the experience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nalyzed with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of the narrative. It was found that they went through a process of 'getting to know' through extensive reading and extensive reading, followed by a learning process of 'finding alternatives' for new specializations, and then going through a process of 'exploring the essence'. As a result of these humanities learning experiences, ‘view of life’, ‘management’, and the expansion and practice of social responsibility were found to occur. If we look at the integrated meaning of these learning experiences, it was judged as a meaningful attempt to interpret the contents as a process of ethical leadership development that shows respect for others, community building, honesty, justice, and service for others. Through these results, it is seen that the humanities learning program needs to be actively considered in the management strategy of SMEs and the performance improvement strategy for organizational culture change.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view its use. To this end, it will be said that an extension of the paradigm of the humanities program is required. It will be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frame that helps innovative thinking that breaks the existing fram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