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재 개발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경험적 내러티브
이용수 178
- 영문명
- A study on the Teachers' Experienc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
-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 저자명
- 김상수(Kim, Sangsoo)
- 간행물 정보
- 『우리말연구』제71집, 307~33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어 교재 개발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적 내러티브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연구 질문을 제시하였다. 교재 개발자로 참여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개발하고자 하는 교재는 어떤 교재인가. 교재 개발에 참여하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가. 연구 결과, 한국어 교사들에게 교재 개발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범주화 할 수 있었다. 1) 서로의 생각과 의견 공유를 통해 성장하다 2) 막연한 생각을 연구 결과물로 만들다 3) 한국어 교육 전문가가 되다 4) 나도 한국어 교사이다. 이처럼 교재 개발 과정은 한국어 교사들에게 고민과 도전, 성장의 과정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 개발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을 기술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in the life of a Korean language teac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mpirical narratives of teacher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s. To this end,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resented. What motivated you to become a textbook developer? What kind of textbook do you want to develop? What does it mean to participate in textbook develop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aning of textbook development for Korean teachers could be categorized as follows. 1) Growing up by sharing each other's thoughts and opinions 2) Vague thoughts become research results 3) Growing up as a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 4) I am a Korean teacher. As such,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extbook development process was a process of thought, challenge, and growth for Korean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ssues that Korean textbook developers should consider are described.
목차
1. 서론
2. 내러티브 탐구와 교재 개발
3. 연구 방법
4. 교재 개발 경험 이야기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남방언 ‘-Xㅣ우-’계 사동사에 대하여
- ‘-지 아니하다’의 통사 구조 분석
- 한국 한자음 유추 현상에 대한 再考
- 음 변화 및 음운 교체는 정말 규칙적인가
- 신문 사설의 메시지 전략 분석 - 새 정부 출범 시기 사설을 중심으로 -
- 학부 유학생 대상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방안
- 교재 개발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경험적 내러티브
- 한국어 학습자 대상 인터넷 매체 쓰기 교육을 위한 문의 텍스트 분석
- ‘다고’ 구문에 대한 말뭉치 기반 연구
- 한·중 초점 구문 대조 연구 - 분열문의 생성 중심으로 -
- 한국어 교육 자료에 나타난 ‘도록’의 통시적 연구 - 의미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