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부 유학생 대상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방안
이용수 405
- 영문명
- Syllabus Design for Academic Purpose Korean Speaking Classes for Undergraduate Foreign Students
-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 저자명
- 오경숙(Oh Kyoungsook)
- 간행물 정보
- 『우리말연구』제71집, 253~28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대학 학부 유학생을 대상으로 개설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교수요목을 설계하여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수요목 설계의 절차에 따라 학습자 요구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부 유학생들은 학문적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말하기 활동에 전반적으로 큰 부담을 느끼고 있었고, 특히 한국 학생들과 함께 상호작용하는 소집단 토의와 토론, 발표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학습자의 요구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일반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위한 교육 내용 범주, 교육 내용과 방법, 배열과 조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교수요목을 설계하고 교육 자료를 개발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수업을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계획하여 학부 유학생들이 학문적 말하기 능력을 함양하도록 이끄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design and propose a syllabus of Korean speaking classes for academic purpose for undergraduate foreign student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learner's demand survey according to the syllabus design procedure, undergraduate foreign students were generally burdened with Korean speaking activities in an academic context, especially with small group discussions and debates interacting with Korean students, and presentation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learner's demand survey, the purpose and goal of the Korean speaking class for general academic purposes were set, and the category of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 arrangement, and organization were considered. Through this process, we laid the foundation for designing syllabus and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The findings could help plan classes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leading undergraduate foreign students to develop academic speaking skills.
목차
1. 머리말
2.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 범주 설정
3. 교육 내용 선정과 배열 및 조직
4. 교수요목 설계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남방언 ‘-Xㅣ우-’계 사동사에 대하여
- ‘-지 아니하다’의 통사 구조 분석
- 한국 한자음 유추 현상에 대한 再考
- 음 변화 및 음운 교체는 정말 규칙적인가
- 신문 사설의 메시지 전략 분석 - 새 정부 출범 시기 사설을 중심으로 -
- 학부 유학생 대상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방안
- 교재 개발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경험적 내러티브
- 한국어 학습자 대상 인터넷 매체 쓰기 교육을 위한 문의 텍스트 분석
- ‘다고’ 구문에 대한 말뭉치 기반 연구
- 한·중 초점 구문 대조 연구 - 분열문의 생성 중심으로 -
- 한국어 교육 자료에 나타난 ‘도록’의 통시적 연구 - 의미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