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남방언 ‘-Xㅣ우-’계 사동사에 대하여

이용수 34

영문명
‘-Xiu-’ Group Causatives in Gyeongnam Dialects
발행기관
우리말학회
저자명
김한결(Kim Han Gyul)
간행물 정보
『우리말연구』제71집, 57~8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Xㅣ우-’계 접사에 의한 경남방언 사동사의 음운·문법·의미적 특징을 알아보는 것이다. 경남방언의 단형 사동사는 단일 사동 접미사와 이중 사동 접미사에 의한 것으로 양분된다. 전자에는 ‘-이/히/리/기-’에 의한 ‘-Xㅣ-’ 계열, ‘-우/구/후-’에 의한 ‘-Xㅜ-’ 계열이 있으며, 후자에는 역사적으로 형성된 ‘-ㅣ우- 계열과 ‘-이우/히우/기우(키우)/리우-’에 의한 ‘-Xㅣ우-’ 계열이 있다. 경남방언의 ‘-Xㅣ우-’ 계열은 실제로 ‘-후/구/류(루)/우/쿠-’로 실현되기 때문에 하나의 형태소인 것처럼 보이지만, 이들은 ‘-Xㅣ-’ 계열에 의한 사동사에 다시 사동 접미사 ‘-우-’가 통합한 뒤 축약된 결과이다. ‘-Xㅣ우-’ 계열인 ‘높우ᛌ다’는 ‘-Xㅣ-’ 계열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성조의 실현 양상을 감안하면 ‘높우ᛌ다’는 ‘높ᛌ이다’가 아닌 ‘높이ᛌ다’를 어기로 하여 도출된 사동사이다. 현대 경남방언 ‘-Xㅣ-’ 계열의 성조는 ‘높ᛌ이다’인데, 이는 ‘높이ᛌ다>높ᛌ이다’와 같은 성조 변화([LH]>[HL])를 경험한 결과이다. 중세 한국어 대부분의 사동사는 ‘높이ᛌ다’(A)처럼 사동 접미사에 고조가 실현되었다. ‘높우ᛌ다’(B)는 바로 이 A에 ‘-우-’가 통합하여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Xㅣ우-’ 계열이다. 반면, ‘높이ᛌ다’는 ‘높ᛌ이다’(C)로 성조의 변화([LH]>[HL])를 경험하여 오늘날의 ‘-Xㅣ-’ 계열이 되었다. 현대 경남방언에는 B와 C가 공존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 가장 신형인 C는 구체적·추상적 의미를 나타낼 수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구형인 B는 구체적 의미만 담당하고 있다. 이 논문은 필자가 2022년 여름 우리말학회 전국학술발표대회(2022.08.25.)에서 “경남방언 이중 접사에 의한 사동법 -‘마사ᛌ아(마시게 해)’류 사동 표현을 중심으로-”의 제목으로 발표하였던 내용을 수정한 것이다. 토론에서 여러 가지 조언을 해주신 서민정(부산대) 선생님께 감사한다. 본고에서는 경남방언의 특이한 사동 표현인 ‘마사ᛌ아’의 특성과 성격에 대해서도 다룰 예정이었으나, 심사 과정에서 ‘마사ᛌ아’에 대한 몇 가지 참고할 사항들이 확인되었다. ‘마사ᛌ아’에 대한 필자의 생각은 변함이 없으나, 분량의 문제로 인하여 이와 관련된 논의는 별고에서 다루기로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유익한 언급을 주신 네 분의 심사위원들께 감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onological, grammar,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causatives in Gyeongnam dialects by the ‘-Xiu-’ group affix. Simple form causatives in Gyeongnam dialects are divided into those by a single causative suffix and those by a double causative suffix. The former includes the ‘-Xi-’ group by ‘-i/hi/li/gi-’ and the ‘-Xu-’ group by ‘-u/gu/hu-’ while the latter includes the ‘-iu- group historically formed and the ‘-Xiu-’ group by ‘-iu/hiu/giu(kiu)/liu-.’ Since the ‘-Xiu-’ group suffixes in Gyeongnam dialects are realized as ‘-hu/gu/lyu(lu)/u/ku-,’ they look like a morpheme; however, they are the result of abbreviation after the integration of the causative suffix ‘-u-’ back into causatives by the ‘-Xi-’ group. The ‘-Xiu-’ group ‘nopuᛌda’ is derived from the ‘-Xi-’ group, but considering the aspect of the realization of tones, ‘nopuᛌda’ is a causative drawn with ‘nopiᛌda’ as a tone, not ‘noᛌpida.’ The tone of the modern Gyeongnam dialect '-Xi-' group is 'noᛌpida', which is the result of experiencing tone changes([LH]>[HL]) such as 'nopiᛌda>noᛌpida'. In most causatives in middle Korean, tones have been realized in causative suffixes as in ‘nopiᛌda’ (A). ‘nopuᛌda’ (B) is in the ‘-Xiu-’ group that continues up to today as ‘-u-’ is integrated into A. In the meantime, ‘nopiᛌda’ experiences a change in the tone into ‘noᛌpida’ (C) ([LH]>[HL]) to become the ‘-Xi-’ group today. In modern Gyeongnam dialects, B and C coexist. C, the newest type, can only refer to a concrete and abstract meaning, and on the other hand, B, a relatively older type, takes charge of a specific meaning only.

목차

1. 머리말
2. 경남방언 사동 접미사의 유형
3. ‘-Xㅣ우-’계 사동 접미사
3.1. ‘-Xㅣ우-’계 사동사 목록
3.2. ‘-Xㅣ우-’계 사동 접미사의 기저
3.3. 두 사동사의 의미
4. 사동 접미사 변화의 상대적 연대순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한결(Kim Han Gyul). (2022).경남방언 ‘-Xㅣ우-’계 사동사에 대하여. 우리말연구, (), 57-85

MLA

김한결(Kim Han Gyul). "경남방언 ‘-Xㅣ우-’계 사동사에 대하여." 우리말연구, (2022): 57-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