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문 사설의 메시지 전략 분석 - 새 정부 출범 시기 사설을 중심으로 -
이용수 28
- 영문명
- An Analysis of Message Strategies of Newspaper Editorials - With a Focus on Newspaper Articles around the Launch of the New Government -
-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 저자명
- 김병홍(Kim Byoung-Hong)
- 간행물 정보
- 『우리말연구』제71집, 181~21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새 정부가 출범할 때 쓴 사설 두 편을 대상으로 논리 구조와 메시지 전략을 분석한 논문이다. 이 연구에서 사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새 정부 출범에 쓴 두 사설의 논리 구조는 신문사가 정부에 우호적이거나 배타적이어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설의 메시지 전략은 우호적 정부와 배타적 정부에서 차이가 있었다. 우호적 정부에는 사설의 주장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관계없이 그것을 뒷받침하는 논거를 선택적으로 제시한다. 하지만 배타적 정부에는 주장에 불리한 논거를 선택적으로 제시하는 메시지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셋째, 우호적 정부에게 불리한 정책이나 공약은 드러내지 않으려 하고 유리한 정책 분야는 부각시킨다. 반면에 배타적 정부에는 불리한 정책 분야의 메시지를 확대하여 제시하고, 유리한 분야는 축소하여 제시한다. 이러한 메시지 전략은 신문사의 의도를 드러내지 않으면서 중립적인 지지 표현 사용 방법과 중립적인 반대 표현 방법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logical structures and message strategies of two editorials written around the inauguration of the new governmen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ogical structures of the two editorials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ewspapers regardless of their friendly or unfriendly attitude towards the government. Second, message strategies of the editorials reveal some differences between friendly and unfriendly newspapers. The government friendly newspaper selectively presents supporting grounds for the editorial argument either it is positive or negative. The unfriendly newspaper, however, demonstrates unfavorable reasons for the argument. Third, the friendly newspaper tries not to uncover disadvantageous policy messages but stresses advantageous policies. On the other hand, the unfriendly newspaper exaggerates disadvantageous policy messages but underestimates advantageous ones. These message strategies do not reveal given newspapers’ intent but are considered using neutral supporting or opposing expressions.
목차
1. 머리말
2. 사설의 메시지 전략 분석
2.1. 제목
2.2. 본문
2.2.1. 배경
2.2.2. 쟁점
2.2.3. 정리
3.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남방언 ‘-Xㅣ우-’계 사동사에 대하여
- ‘-지 아니하다’의 통사 구조 분석
- 한국 한자음 유추 현상에 대한 再考
- 음 변화 및 음운 교체는 정말 규칙적인가
- 신문 사설의 메시지 전략 분석 - 새 정부 출범 시기 사설을 중심으로 -
- 학부 유학생 대상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방안
- 교재 개발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경험적 내러티브
- 한국어 학습자 대상 인터넷 매체 쓰기 교육을 위한 문의 텍스트 분석
- ‘다고’ 구문에 대한 말뭉치 기반 연구
- 한·중 초점 구문 대조 연구 - 분열문의 생성 중심으로 -
- 한국어 교육 자료에 나타난 ‘도록’의 통시적 연구 - 의미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