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 아니하다’의 통사 구조 분석
이용수 61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Syntactic Structure ‘-Ci Anihada’
-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 저자명
- 이정민(Lee Jeong-Min)
- 간행물 정보
- 『우리말연구』제71집, 87~11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지 아니하다’ 구문의 ‘가’, ‘를’ 교체 현상을 검토하고, 통사적 구조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가’를 주격 조사, ‘를’을 목적격 조사라고 보고 통사적 구조를 제안하였지만, 본고에서는 ‘를’은 목적격 조사의 특수한 용법으로, ‘가’는 보격 조사로 간주하고 특정한 환경에서 교체가 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지를 아니하다’와 ‘-지가 아니하다’의 구조는 별개의 구조가 아니라 동일한 구조를 바탕으로 한다. ‘를’은 선행절의 제약이 없기 때문에 ‘-지’ 선행 성분의 특성과 관계없이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가’는 선행절이 주어의 ‘속성, 상태’를 나타낸다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지’ 선행 용언으로 타동성을 나타내는 서술어를 취할 수 없고, 형용사나 비대격 동사, 피동사를 취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yntactic structure of ‘-Ci Anihada’ as a Korean negation sentence. '-Ci Anihada' can be combined with the case maker 'ka' or 'lul'.
In this study, ‘ka’ and ‘lul’, which are regarded as the complementary case maker and special usage of objective case markers, respectively, could be alternatives to each other in the specific ‘-Ci Anihada’ structure. It implies that the underlying structure of ‘-Cilul Anihada’ and ‘-Cika Anihada’ is the same.
‘lul’ is able to combined with ‘-Cii’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ecedent phrase of ‘-Ci’ since there are no combination constraints. On the other hand, ‘ka’ cannot be used together with ‘-Ci’ when the antecedent verb of ‘-Ci’ serves as transitive verb. This is because ‘ka’ has relatively strong combination constraints. However, ‘ka’ joins together with ‘-Ci’ when the antecedent verb of ‘-Ci’ is the adjective, unergative verb, and passive verb.
목차
1. 들어가기
2. 장형 부정 구문과 조사 분석
3. ‘-지 아니하다’의 통사 구조 분석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남방언 ‘-Xㅣ우-’계 사동사에 대하여
- ‘-지 아니하다’의 통사 구조 분석
- 한국 한자음 유추 현상에 대한 再考
- 음 변화 및 음운 교체는 정말 규칙적인가
- 신문 사설의 메시지 전략 분석 - 새 정부 출범 시기 사설을 중심으로 -
- 학부 유학생 대상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위한 교수요목 설계 방안
- 교재 개발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경험적 내러티브
- 한국어 학습자 대상 인터넷 매체 쓰기 교육을 위한 문의 텍스트 분석
- ‘다고’ 구문에 대한 말뭉치 기반 연구
- 한·중 초점 구문 대조 연구 - 분열문의 생성 중심으로 -
- 한국어 교육 자료에 나타난 ‘도록’의 통시적 연구 - 의미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