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뮤지엄 네트워크 사례

이용수 200

영문명
An Analysis of Museum Network Cases Based on Digital Media: Focusing on the Use of TikTok and Sandbox Game
발행기관
한국박물관학회
저자명
김솔이(Kim Sol-yi) 김영호(Kim Young-ho)
간행물 정보
『박물관학보』제42호, 169~19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례 없는 팬데믹 상황에 뮤지엄은 반강제적으로 문을 닫으며 관람객과의 대면 네트워크 기능을 잃게 되었다. 전시, 교육 뿐 아니라 관람객과의 상호작용 역시 새로운 방법을 모색해야 했다. 국내외 뮤지엄들은 디지털매체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게임, 비대면 프로그램을 활용해 네트워크를 형성했으며 이 사례들은 뮤지엄이 현실에서 원래의 기능을 전부 수행하지 못할 때 어떤 방식으로 대체해야 하는지 방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ANT 이론을 바탕으로 샌드박스게임과 소셜미디어를 활용해 비대면 상황에서 뮤지엄이 어떻게 관람객과 네트워크를 구축했는지 분석한다. 소셜미디어는 스마트폰만 있다면 누구나 접근할 수 있으며 약 15초에서 3분 이내의 영상으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고 빠르게 전파되며 손쉽게 소비될 수 있다. 샌드박스게임은 가상현실을 활용해 디지털 뮤지엄에 시공간의 제약 없이 접속할 수 있으며 게임 내 기능을 통해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교육적인 측면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국내외 뮤지엄에서는 이미 샌드박스게임과 소셜미디어를 통해 비대면 상황에서 관람객의 디지털 매체로의 방문을 유도하고 상호작용했으며 콘텐츠를 제작 및 배포하고 이를 교육에 활용하기도 했다. 경기도어린이박물관과 게티뮤지엄, 메트로폴리탄뮤지엄, 블랙컨추리리빙뮤지엄 등이 디지털 매체를 통해 형성한 네트워크의 형성과정을 ‘번역’의 개념으로 정리한다. 또한 형성 과정에서 행위자들의 역할 변화, 네트워크를 정리하여 이를 기반으로 소셜미디어와 샌드박스게임을 활용한 뮤지엄의 네트워크를 모형으로 구축하고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As the COVID-19 pandemic continued to change the world in different ways, museums were also greatly affected by it. Forced to stay closed for undefined periods of time, museums have lost their role as places where face-to-face network and communication happen, and had to seek for new ways of not only exhibiting and educating, but also maintaining relationship with their visitors. As a result, museums in Korea and all around the world have started building networks with the public making active use of virtual reality, social network services, games, and other non-face-to-face digital media programs. These cases illustrate how museums should act - replacing offline services with online programs - when their main functions are lost due to circumstances such as COVID-19, failing to perform their original tasks. Based on the ANT theory, this study examines how museums have built networks with their visitors in non-face-to-face circumstances by making use of social media and sandbox games. Social media is easily accessible by anyone with just a smartphone, and it also enables people to enjoy and share, or even upload 15 seconds to 3 minutes long videos that can be easily produced. Sandbox games can be accessed at anytime anywhere too, allowing people to easily reach digital places created by museums in virtual reality - which, combined with their engaging nature, makes them likely to be adapted in museums for educational purposes. Museums in Korea and all around the world have not only induced and interacted with visitors via sandbox games and social media, but also produced and distributed many contents and information, which were then used for educational purpose. The cases of Gyeonggi Children's Museum, Getty Museum, Metropolitan Museum, and Black Country Living Museum are analyz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networks generated by museums through digital media as a notion of “translation.” The network development process, as well as the role changes and features of the actor involved, are organized, and the network is presented as models.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of maintaining networks built on digital media even after museums restore when the COVID-19 ends.

목차

Ⅰ. 서론
Ⅱ. 디지털 매체 기반 뮤지엄 네트워크 형성과정과
Ⅲ. 디지털 매체 기반 뮤지엄 네트워크 사례
Ⅳ. 디지털 매체 기반 뮤지엄 네트워크 모형 제시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솔이(Kim Sol-yi),김영호(Kim Young-ho). (2022).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뮤지엄 네트워크 사례. 박물관학보, (), 169-193

MLA

김솔이(Kim Sol-yi),김영호(Kim Young-ho).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뮤지엄 네트워크 사례." 박물관학보, (2022): 169-1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