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중기 토기생산체계 일고찰

이용수 387

영문명
Examination of the Pottery Production System of the Hoseo Region in the Middle Bronze Age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김은채(Kim, Eunchae)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3집, 281~31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중기의 토기생산체계를 살피기 위해 하나의 대푯값인 변동계수를 이용하여 주거지 평면형태별/시기별, 지역별로 토기의 유사도를 검토하고 그 양상을 고찰하였다. 주거지 평면형태는 크게 방형계 주거지와 원형계 주거지, 지역은 아산만, 충청 북부서해안, 충청 남부서해안, 금강중상류, 금강중하류역으로 구분하였다. 분석대상 기종은 호형, 발형, 적색마연원저호로 주거지 평면형태별/시기별, 지역별로 다양한 양상을 보이면서 전개되며, 이는 청동기시대 중기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관련있다고 생각된다. 토기생산체계는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요인들에 의해 조직과 성격이 결정되며 시기,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이게 된다. 청동기시대 중기는 급격한 사회 변화를 겪은 시기로 토기생산체계 또한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였을 것이다. 본고는 호서지역 대규모 복합취락으로 토기가마군이 확인된 보령 관창리유적을 주목하였으며, 관련 유구·유물 분석을 통해 시기별 생산체계의 변화상을 파악하였다. 휴암리단계에는 분업 및 협업 형태의 소규모 생산체계로 운영되었으며, 송국리단계에 이르러 토기가마군이 이용되면서 보다 큰 규모로 집중적인 토기생산이 이루어졌다고 추정된다. 송국리단계에 높은 유사도를 보인 금강유역은 보령 관창리유적보다 체계적인 토기생산을 했다고 상정되며, 지역 내의 유통이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청동기시대 중기 토기생산체계는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보다 표준화된 토기생산체계로 발전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In an attempt to examine the pottery production system of Hoseo region in the Middle Bronze Age, the pottery similarity in terms of type and region was analyzed us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The period was sub-divided into the Huam-ri stage and the Songguk-ri stage, the region was sub-divided into the Asanman Bay, the western coast of northern Chungcheong Province, the western coast of southern Chungcheong Province, the upper and middle reaches of Geumgang River, and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Geumgang River areas. Analysis was undertaken on jar-type, bowl-type, and red burnished round-type pottery, all of which illustrat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ub-period and sub-region, which appear to be related to the socioeconomic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Middle Bronze Age. It is proposed that the pottery production system was determined by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factors, and took o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time period and region. The Middle Bronze Age was a period of rapid social change, and the pottery production system would have also changed rapidly,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d the site of Gwanchang-ri, in Boryeong, which is a large-scale complex settlement of the Hoseo area where many archaeological features related to pottery production, including kiln clusters, were confirmed. Changes in the production system were identified through an analysis of related features and artifacts. In the Huam-ri stage, a small production system characterized by the division of labor and cooperation was in operation. With the use of the pottery kiln clusters in the Songguk-ri stage, intensive pottery production on a larger scale was carried out. In the Geumgang River Basin, pottery was found to demonstrate a high degree of similarity in the Songguk-ri stage, and it is assumed that pottery production took place in a more systematic manner, compared to that observed at Gwanchang-ri. It is also likely that distribution within the region had occurred. Though this process, the Middle Bronze Age pottery production system appears to have obtained a greater degree of standardiz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검토
Ⅲ. 호서지역 토기의 유사도 비교분석
Ⅳ. 청동기시대 중기 토기생산체계의 전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채(Kim, Eunchae). (2022).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중기 토기생산체계 일고찰. 한국고고학보, (), 281-315

MLA

김은채(Kim, Eunchae).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중기 토기생산체계 일고찰." 한국고고학보, (2022): 281-3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