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산지역 적석목곽묘의 전개양상과 의미

이용수 461

영문명
The Development Process and Meaning of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of the Gyeongsan Region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길가은(Geel, Gaeun)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3집, 425~45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글은 지방에서 나타나는 소위 사방적석식 적석목곽묘를 넓은 의미의 적석목곽묘 범주에 포함하여 그 전개와 의미를 검토한 것이다. 경산지역에서 적석목곽묘가 조사된 유적으로는 임당동・조영동・부적리고분군(임당유적), 신상리고분군, 선화리 1111번지 유적 등이 있다. 임당유적에서는 약 2세기에 가까운 시간에 걸쳐 상위 위계와 중하위 위계에 해당하는 적석목곽묘가 확인된다. 반면, 신상리고분군과 선화리유적은 착장위세품과 부장유물로 보아 중하위 위계에 해당하는 적석목곽묘가 5세기 말엽부터 6세기 전중엽까지 조영되는 양상이다. 이러한 지방의 적석목곽묘는 신라 중앙과의 관련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각 지역 집단 간의 위계에 따라 규모와 축조단위 등에 있어 약간의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지방 적석목곽묘의 축조 양태에 따라 마립간기에 신라와 지방 내 각 세력의 관계성을 구체적으로 검토해볼 수 있다. 여기에는 신라가 중하위 위계의 정치체에게 이주를 장려했을 가능성, 지증왕대 신라에서 지방관을 파견했던 정책 등의 정치적 맥락이 작용했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부적리 BⅥ호분은 신라 중앙의 적석목곽묘 구조와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주목되는데, 이것은 신라가 마립간기에서 본격적인 중앙집권 국가로 이행하기 위해 토대를 마련하고 왕권을 강화하던 과정과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meaning of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additionally covered with an earthen layer) of the Gyeongsan region, where many cases of these tomb type have been excavated. Representative sites include the Imdang site (comprising the burial grounds of Imdang-dong, Joyeong-dong, Bujeok-ri), the Sinsang-ri burial ground, and Seonhwa-ri 1111 beonji site. At the Imdang sit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that belong to social groups of both the upper and middle rank of the region were construc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spanning two centuries. In the case of the tombs of Sinsang-ri and Seonhwa-ri, they were constructed over a short period of time, from the end of the 5th century to the mid-6th century by social groups of the middle lower rank.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of the region indicate links with the center of the Silla Kingdom. It is suggested tha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social groups of the upper and middle lower rank of the region in terms of their degree of relevance to the central power group of the Silla Kingd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lla Kingdom and each region power group during the Maripgan period can be seen to demonstrate the political context of the time, such as the possibility that the Silla Kingdom encouraged the social groups of the middle lower rank to migrate, as well as Silla’s policy of dispatching regional officials during the reign of King Jijeung. Particularly, the similarity of the structure of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s mounds to that of the center of Silla is believed to be related to Silla’s process of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and laying down the foundations that enabled its transition from the Maripgan phase to a stage in which a full-fledged centralized state was established.

목차

Ⅰ. 머리말
Ⅱ. 경산지역 적석목곽묘 분포 및 현황
Ⅲ. 적석목곽묘의 축조시기와 위계
Ⅳ. 4-6세기 경산지역 적석목곽묘의 전개와 의미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길가은(Geel, Gaeun). (2022).경산지역 적석목곽묘의 전개양상과 의미. 한국고고학보, (), 425-450

MLA

길가은(Geel, Gaeun). "경산지역 적석목곽묘의 전개양상과 의미." 한국고고학보, (2022): 425-4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