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동기시대 남강유역 적색마연토기의 생산과 유통

이용수 396

영문명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Red Burnished Pottery in the Namgang River Basin in the Bronze Age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황재훈(Hwang, Jaehoon) 이정은(Lee, Jeongeun)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123집, 249~27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동기시대 사회경제적 측면에 접근하기 위한 예비 작업의 일환으로, 남강유역의 특징적인 유물 중 하나인 적색마연토기의 생산-유통시스템과 그것의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민족지, 고고학적 연구를 검토하여 생산 규모와 전문화, 생산의 집중도, 노동 시간과 집약도에 따라 크게 5가지 유형의 토기 생산체계를 도출하였다. 토기의 유통체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생산지와 소비지, 소비단위, 물품 성격, 엘리트 통제 등 다양한 사회환경적 조건들을 검토하였다. 다음, 토기의 변동계수를 이용해 남강유역의 생산 수준이나 규모, 전문화 등 생산체계를 파악하였다. 변동계수 값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일상토기인 무문토기는 가내수공업자에 의해 생산되어 개별 가구 또는 취락 내에서 소비되었던 반면 적색마연토기는 가내수공업자 혹은 반전업 도공그룹에 의해 가내공작 또는 초보적 수준의 생산공방에서 제작되어 보다 넓은 범위에서 유통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적색마연원저호 Ⅰ식은 진주 대평리 유적에서 생산되어 남강 일대 제 유적으로 활발히 유통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fall-off curve 분석을 이용하여 적색마연토기의 유통망을 살펴보았다.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의 거리와 토기 수량 간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는데, 30km 정도의 유통범위를 보이는 생활유적에 비해 무덤유적의 경우 그 범위가 훨씬 넓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유적 성격에 따른 물품의 교환-유통체계의 차별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특히 단순선형회귀식에서 생활유적과 무덤유적에서 유의미한 편차가 관찰되었는데, 전자는 down-the-line trade, 후자는 directional trade와 no distance decay trade에 가까운 결과값을 나타냈다.

영문 초록

As part of a preliminary attempt to understand the socioeconomic aspects of the Bronze Age, this study examined the production-distribution system of red burnished pottery, one of the characteristic artifacts of the Namgang River Basin, as well as the changing nature of this system over time. First, based on a review of current archaeological and ethnographic studies, five types of pottery production systems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production scale, degree of specialization, degree of concentration, working hours and intens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system of the pottery, various soci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production and consumption areas, consumption units, product characteristics, and elite control were examined. Next, the nature of the production system (such as the production level, scale, and specialization) of the Namgang River Basin was identified us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potter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values, it was proposed that ordinary pottery (i.e. mumun pottery) was likely produced by domestic craftspeople and then consumed within individual households or villages, whereas red burnished pottery was produced by craftspeople based at rudimentary level specialized production workshops (and/or skilled domestic craftspeople) and then consumed over a wider area. Finally, the distribution network of red burnished pottery was examined using fall off analysis. A correlation could be identified between the distance from the production site to the consumption site and the quantity of pottery. In particular, significant deviations were observed between settlement sites and burial sites in the simple linear regression equation. The former showed results close to down-the-line trade, and the latter to directional trade and/or no distance decay trade.

목차

Ⅰ. 머리말
Ⅱ. 토기의 생산과 유통에 대한 이론적 검토
Ⅲ. 남강유역 적색마연호의 분석
Ⅳ. 적색마연토기로 본 남강유역 청동기 사회의 생산·유통 시스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재훈(Hwang, Jaehoon),이정은(Lee, Jeongeun). (2022).청동기시대 남강유역 적색마연토기의 생산과 유통. 한국고고학보, (), 249-279

MLA

황재훈(Hwang, Jaehoon),이정은(Lee, Jeongeun). "청동기시대 남강유역 적색마연토기의 생산과 유통." 한국고고학보, (2022): 249-2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