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박엽(朴燁)에 대한 기억의 변화 재론

이용수 29

영문명
The Re-Discussion of Memory Transformation on Park Yup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이은주(Yi, Eunju)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45호, 225~25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인조반정 직후 처형된 박엽이 후대에 주로 야담에서 매우 신이하고 비현실적인 인물상을 보인다는 선행 연구의 착안점을 이어 박엽의 전승담이 특이한 양상을 가지게 된 이유를 조명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18세기 후반과 19세기에 나타난 잡록과 야담에 나타난 박엽의 일화를 크게 7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이 일화 중에서 이전 시기에 등장하는 요소들을 정리하였다. 그런데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야담에서 박엽의 이미지가 변모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로는 어떤 이유에서 이런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설명할 수 없다. 이 글에서는 박엽이 평안도 지방관을 오래 역임했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평양 읍지와 평양 사인 김점이 쓴 󰡔서경시화󰡕 및 󰡔칠옹냉설󰡕에 수록된 박엽 관련 기록을 통해 후대 이야기의 원형으로 보이는 일화들을 확인했다. 특히 야담에서 ‘천인(千人)’을 죽이라는 예언은 박엽의 죽음과 관련된 인물의 별칭이 ‘천인’인데 박엽이 이를 천 명으로 오해했다는 내용으로 나오는데, 지역민이 편집한 󰡔칠옹냉설󰡕에는 박엽이 처형을 남발하게 된 이유가 이 예언을 오인했기 때문이라는 내용만 있다. 곧 평안도 지역에서 박엽의 학정은 기정사실이며 이들은 학정에 시달렸는데, 후대에 이들이 역설적이게도 박엽의 행동을 해명하는 일화를 만들어낸 것을 보면 박엽의 처형 이후 평안도 지역민의 인식에 변화가 나타났다고 생각할 수 있다. 18세기에 지역민이 박엽의 사당을 비공식적으로 건립한 것도 주목할 부분이다. 심노숭의 「대성산신묘기」를 보면 박엽의 사당은 처형 직후 원한을 가진 지역민이 박엽의 시신을 난도질하고 시신을 수습할 수 없게 한 결과 박엽의 혼령이 떠도는 이미지를 그려냄으로써 이 시기 지역민이 박엽에게 가지고 있는 죄의식과 연민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것은 박엽의 학정을 부정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 박엽은 관찰사를 공식적으로 제향하는 생사당이 아니라 복을 빌기 위해 제사를 지내는 ‘음사’에 모셔졌다. 이렇게 산신이 되면서 원래 작고 여성적인 모습이었다고 하는 박엽은 산신으로 거듭나 평안도의 수호신으로, 나아가 이후 허구적인 서사 속에서 신이한 능력을 가진 무장의 형상으로 인식되었다. 박엽이 후대 야담에서 비현실적이고 신이한 인물상으로 변모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평안도 지역민이 박엽이 처형되고 시신이 훼손되는 참혹한 모습을 기억하면서 죄의식과 연민의 감정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해 박엽은 새로운 이미지를 얻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ttempted to shed light on why Park Yup s story took on a unique aspect in the later unofficial historical tales, following the previous study that Park, a close aide to Gwanghaegun who was executed shortly after King Injo s coup, is transforming from a corrupt official to a positive figure. To this end, Park s anecdotes in the late 18th and 19th centuries were classified into seven types, some of which pointed out that they seem to bring partial motifs from the stories of Yoo Mong-in, Park s contemporaries and other official history. However, the fact that Park s image is changing in anecdotes in the late 18th and 19th centuries itself cannot explain why this change occurred. In this article, based on the fact that Park served as a governor of Pyongan-do for a long time, he identified anecdotes that seemed to be the prototype of later stories through records in the Pyongyang gazetteer and Pyongyang people Kim Jeom s Seokyeong Sihwa and Chilong Naengseol. The prophecy of killing the Cheonin that appears in later anecdotes is the name of the people responsible for Park s death, and Park misunderstood it as a prophecy to kill a thousand people, and Chilong Naengseol showed that Park was innocent because he misunderstood the prophecy. Park s tyranny in the Pyongan-do is the object of resentment to the local people who suffered from his tyranny, but paradoxically, it can be thought that the perception of Pyongan-do residents changed after Park s execution.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local people unofficially built Park s shrine in the 18th century. According to Shim No-sung s Daeseongsan Shinmyogi(the record of mountain spirit shrine), Park s shrine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resentful local people dismembered Park s body immediately after his execution and could not recover the body, and after a period of time, showed the guilt and compassion for Park s spirit. However, this cannot be seen as denying Park s tyranny. Park s shrine was a shrine to pray for good fortune, not the official governor s shrine. when Park became a mountain god, he gained the image of a guardian deity of Pyongan-do, and later gained the image of an warrior figure with mysterious abilities in a fictional narrative. The direct reason why Park turned into an unrealistic and mysterious figure in later anecdotes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the local people of Pyongan-do remembering Park s brutal execution and his body being damaged, and looking at him anew with guilt and compassion.

목차

Ⅰ. 서론
Ⅱ. 18세기 후반, 19세기 박엽 일화의 유형
Ⅲ. 18세기 평안도민이 기억한 박엽의 모습
Ⅳ. 박엽의 사당으로 본 평안도민의 시선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주(Yi, Eunju). (2022).박엽(朴燁)에 대한 기억의 변화 재론. 국문학연구, (45), 225-256

MLA

이은주(Yi, Eunju). "박엽(朴燁)에 대한 기억의 변화 재론." 국문학연구, .45(2022): 225-2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