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도 나주 출자 뱀 신앙 연원 일고찰 - 조선조 나주목 일대 용신 신앙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이용수 70

영문명
A Study on the Origins of Jeju Island s Snake Faith from Naju - Based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agon faith in Naju-mok area of the Joseon Dynasty -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이현정(Lee, Hyun-jeong)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45호, 5~3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제주도 뱀 신앙을 대표하는 <나주기민창조상본풀이>와 <토산ᄋᆢ드렛당본풀이>의 신격인 천구아구데멩이는 단적인 뱀 그 자체는 아니며, 본디 용신에 가까운 존재다. 그 까닭을 이 글에서는 두 신앙의 공간적 연원과 나주목 일대의 용신 신앙을 연계하여 살피는 과정으로 풀었다. 각 신앙 형성에 관여한 용신 신앙의 실재와 전모는 신격의 출자 공간, 독특한 신앙적 속성과 연관된 역사적․민속적․문헌적 자료들을 견주는 선에서 재구하였다. 먼저 <나주기민창조상본풀이>와 관련 신앙의 연원 기반은 조상신․당신(堂神)․해신의 면모를 아우르는 신격 특성과 실제 나주 제민창의 소재지였던 안창동 제창마을 신앙 간의 접점을 살피는 것으로 톺았다. 안창동 제창마을은 고려조 이래 앙암과 용진단을 구심점으로 한 용신 신앙이 매우 성행하였던 곳이다. 이 같은 전통적․토착적 용신 신앙은 후대에 제민창과 관창(官倉), 교역(交易), 수운(水運), 해로(海路) 등의 문제와 결부하며 신앙적인 파생과 분화를 이루어 <나주기민창조상본풀이>와 관련 신앙의 기반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 제주로 이진곡(移賑穀)을 실어 나르는 배의 입․출항 시 치러졌던 해신제 역시 신앙적 기반이 되어 본풀이 서사에 흔적을 남겼다. <토산ᄋᆢ드렛당본풀이>와 관련 신앙의 연원 기반은 본풀이 상에서 확인되는 신의 변모, 즉 천구아구데멩이와 바둑돌, 용신 신앙 간의 연결 고리를 짚는 과정으로 풀었다. 본풀이 이본에 전하는 특별한 전반부 서사와 󰡔어우야담󰡕에 수록된 대망(大蟒) 이야기, 야담집에 널리 수록되었던 신숙주와 청의동자 이야기, 신숙주의 출생지인 나주 금안마을의 민간 신앙과 용신 신앙의 관계 등을 살필 때, 이 같은 토산ᄋᆢ드렛당신의 변모는 물론 나주 금성산 일대의 신앙적 저변들이 용신 신앙에 가닿는 한 흐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두 신앙은 나주목 일대의 토착적․전통적 용신 신앙을 저류로 두되, 연원 지역과 제주사람들과의 신앙적․역사적 교류를 거치며 제주도 뱀 신앙 체계로 편승하게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두 신앙의 연원을 단적인 가신신앙 또는 뱀 신앙으로 한정하기 어렵다. 오히려 두 신앙은 각 출자 지역에서 비롯된 용신 신앙이 제주도로 유입된 뒤, 토착적 뱀 신앙 혹은 선주민들의 뱀 신앙과 교섭하며 지금의 구색을 갖추었을 여지가 크다.

영문 초록

Cheonguagudemengi, the deities of Najugiminchang-josangbonpuri and Tosanyodret-Dangbonpuri, which represent Jeju Island s snake faith, is not a straightforward snake itself, but is close to a dragon Deity. This article unravels the reason by examining the origin of the two faiths in connection with the Dragon faith in the Naju-mok area. The process of revealing the reality and full picture of the Dragon faith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each faith compared historical, folk, and literary materials related to this based on the space described in Bonpuri and the unique attributes of Deity. First of all, Najugiminchang-josangbonpuri and related beliefs prioritized the expla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ity, which are ancestral gods and have the appearance of you and the god of sea. Jechang-Village in Anchang-dong, where Naju Jeminchang was established, has been a place where the faith of the dragon Deity, centered on Ang-am and Yongjindan, has been highly revered since the Goryeo Dynasty. This traditional and indigenous Dragon faith was derived and differentiated faithfully in relation to JeMin-chang, Gwan-chang, water transport, and trade in future generations, and served as the origin of Najugiminchang-josangbonpuri and related faith. In addition, the sea god festival, which was held when ships carrying Ijingok to Jeju entered and departed, also served as the basis for formation, leaving Bonpuri as a trace in the narrative. Tosanyodret-Dangbonpuri and related beliefs revealed the religious origin of dragonthrough an explanation of the transformation of God, t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Cheongu- Agu-demeng-i and baduk stone. It found clues in the special first half of the story, the story of Dae-mang contained in Eouyadam, the anecdote of Shin Sook-ju, and the folk belief of Geum-an-Village. Tosanyodret-Dangbonpuri are related to the long-cherished desire to become a dragon due to your greed for cintamani, and at the same time, you have a marine attribute that presides over the wind and cloud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nection between Shin Sook-ju and Naju s indigenous forc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k faith and the dragon faith in Geumseongsan Mountain in Naju, This suggests that the belief in Geumseongsan Mountain in Naju was already achieved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dragon and snake faith at that time. Based on the indigenous and traditional Dragon faith in Naju-mok area, the two beliefs are homogeneous in that they have been introduced into the shamanic system of Jeju Island, linked to problems such as Gwanchang(官倉), water transport, Trade, and a sea route etc, according to religious and historical exchanges with Jeju people and gradually completed their appearance as faith. Therefore,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e two faiths were derived from the House Spirit Belief or snake faith from the beginning. Rather, after the dragon faith, which is the origin, flowed into Jeju Island, and combined with the existing indigenous snake faith or the snake faith of the natives, there is a lot of room for a more colorful and complex faith system and main pool.

목차

Ⅰ. 들머리에
Ⅱ. <나주기민창조상본풀이>: 제창마을 당산제와 이진곡 해신제
Ⅲ. <토산 드렛당본풀이>: 대망(大蟒) 전승과 금성산 용신 신앙
Ⅳ. 맺으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정(Lee, Hyun-jeong). (2022).제주도 나주 출자 뱀 신앙 연원 일고찰 - 조선조 나주목 일대 용신 신앙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국문학연구, (45), 5-38

MLA

이현정(Lee, Hyun-jeong). "제주도 나주 출자 뱀 신앙 연원 일고찰 - 조선조 나주목 일대 용신 신앙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국문학연구, .45(2022): 5-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