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염에 의한 손상상태 연구 - 서방광목천왕과 남방증장천왕 도상을 중심으로 -

이용수 159

영문명
Study on Salt Damage Characteristics of Mural Painting in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Focused on the Icons of Virupaksha and Virudhaka-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김설희(Kim Seol-hui) 문혜영(Moon Hye-young) 이태종(Lee Tae-jong) 장성윤(Jang Sung-yoon)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98집, 139~16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부석사 조사당 벽화는 현존하는 우리나라 벽화 중 가장 오래된 고려시대 사찰 토벽화이다. 이 벽화는 일제강점기에 해체 보존처리되어 현재 채색면 전반이 흐려지는 염 손상 오염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와 연관하여 채색층 박리‧박락과 같은 물리적인 손상도 확인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상 중 서방광목천왕과 남방증장천왕에 대하여 과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염 손상 현황과 특성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백색 염은 채색층 전반을 덮고 있으며 현미경 확대 관찰 시 육안으로 확인되는 부분 이외에도 미세하고 깊은 부위까지 염이 침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985년 과거 보존처리에서 이탈리아 프레스코 벽화의 염 제거 방법을 본 벽화에 시도한 흔적도 관찰되었다. 현미경 조사 결과, 채색층위의 구조는 황토색 바탕층, 뇌록색 바탕층, 백색 염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었다. 염 층위 두께는 남방증장천왕보다 서방광목천왕에서 얇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것은 과거 실시된 염 제거 연구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염의 광물조성 분석 결과, 대상 시편에서 석고(gypsum)와 셀라도나이트(celadonite)를 포함한 토양광물이 주로 동정되며, 채색층을 덮고 있는 백색 염 결정은 석고로 판단된다. 표면 원소분포 조사 결과, 벽화면 전반에서 칼슘(Ca)과 황(S)의 분포가 확인되며, 이를 백색 염 분포지도와 상호 비교하였을 때 염 분포 경향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사전자현미경 분석 결과, 시편의 표면 미세조직에서 판상형 점토광물 위에 염 결정이 성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앞서 현미경 관찰 결과에서 확인한 층위 구조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벽화 표면에 발생한 염 결정은 일제강점기 때 사용된 보존처리 재료인 석고에서 기인하였고 채색층에 고착되어 있어 염이 성장할수록 안료박락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판단하였다. 더불어 석고 염 제거에 관련한 심화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mural painting in the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 is the oldest earthen mural painting in a temple of the mural paintings in Korea, built during the Goryeo Dynasty period. This relic, which was deconstructed and treated for conserv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developed problems with salt damage and contamination, which blurred the entire colored surface, as well as physical damage related to this, e.g., the desquamation or exfoliation of the colored layer. Thus, this study would discuss the salt damage characteristics, conducting a scientific analysis of Virupaksha and Virudhaka among other icons. As a result of the study, white salt covered the entire colored layer, and it was found that salt permeated into small and deep regions in the microscopic observation in addition to the parts visible to the naked eye. During a previous conservation treatment in 1985, a trace of the attempt of the method for removing salt used in the mural in Florence, Italy was also observed. Microscopic observation showed that all the structures on the colored layer consisted of the following order; ocher ground layer, neorok ground layer, and white salt texture. As for the salt layer thickness, it was thinner Virupaksha than in Virudhaka, which appears to be related to the salt removal experiment conducted in the preceding study. An analysis of the mineral composition of salt revealed that mostly, soil minerals, such as gypsum and celadonite, were identified in the target specimen, so the white salt crystals covering the colored layer are assumed to be gypsum. The survey of the distribution of surface elements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of calcium(Ca) and sulfur(S) was identified throughout the mural surface,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tendency of salt distribution when compared to the map of the distribution of white salt. As a result of SEM-EDS analysis, it was found that salt crystals developed on the phyllosilicate clay minerals in the superficial microstructure of the specimen,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layered structure found in the results of microscopic observation above.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judged that salt crystals on the surface of the mural resulted from gypsum, which was used as a conservation material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Along with this, there is a possibility of the occurrence of additional damage as salt damage continues, and it is judg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f the removal of gypsum salt.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설희(Kim Seol-hui),문혜영(Moon Hye-young),이태종(Lee Tae-jong),장성윤(Jang Sung-yoon). (2021).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염에 의한 손상상태 연구 - 서방광목천왕과 남방증장천왕 도상을 중심으로 -. 고문화, 98 , 139-160

MLA

김설희(Kim Seol-hui),문혜영(Moon Hye-young),이태종(Lee Tae-jong),장성윤(Jang Sung-yoon).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염에 의한 손상상태 연구 - 서방광목천왕과 남방증장천왕 도상을 중심으로 -." 고문화, 98.(2021): 139-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