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황룡사 광장배수로 출토 문자기와의 재료과학적 특성 및 산지 해석

이용수 53

영문명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Inscribed Roof Tiles on the Excavation from Hwangnyongsa Temple Site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진홍주(Jin Hong-ju) 이명성(Lee Myeong-seong) 장성윤(Jang Sung-yoon)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98집, 161~18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황룡사 남쪽광장 배수로에서 출토된 문자기와의 재료과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산지를해석하고자 하였다. 문무왕대 제작된 것으로 알려진 ‘儀鳳四年皆土’, ‘習部’, ‘漢/漢只’ 등 문자기와는 습비부, 한기부 등 신라 육부와의 연관성이 추정된다. 이 기와들은 월성, 동궁과 월지 등 왕경 범위 내 유적에서 출토된 바 있는데, 최근에는 황룡사 남쪽광장 배수로에서 대량 출토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황룡사 남쪽광장 배수로에서 출토된 문자기와의 재료과학적 특성을 명문 속성별로 살펴보았으며, 선행연구에서 산지로 언급된 다경 및 망성리와요지 수습품과 비교하여 산지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儀鳳四年皆土’명과 방곽복합문 기와는 광물학적 및 화학적 특성이 상당히 유사하고 1,000℃ 이하의 낮은소성도를 보여 동일한 제작집단이나 공방지에서 기와를 공급받았을 것으로 추정되며, 망성리와요지 수습품과 재료적 특성이 일치하여 망성리에서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漢/漢只’명 기와는 다른 기와들과는 달리 소성온도가 1,000~1,100℃로 비교적 높고, 태토의 재료적 특성이 거의 동일하게 나타나 채토와기와 제작과정이 동일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習部’명 계열, 방곽문, 다중호선문은 동일한 명문 내에서도 비교적 다양한 재료적 특성이 나타나 채토지점 혹은 태토수비가 달랐던 것으로 생각되며, 다경와요지 수습 기와와는 일부만 유사하여 향후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정리하면, 문무왕대에 대규모건축사업이 진행되면서 많은 기와가 필요했고, 이들 기와는 망성리를 비롯한 여러 와요지에서 공급된것으로 생각된다. 이 기와들은 형태적 제작기법은 유사하지만 채토, 태토수비, 소성작업 등은 다소 다른제작집단에 의해 제작되어 공급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scientific analysis on the roof tiles with inscriptions excavated from the drainage channel of the southern square of the Hwangnyongsa temple site was carried out to interpret provenance of raw materials. These types of roof tiles were excavated from Donggung, Wolji, and Wolseong site of Gyeongju, which were known to be made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文武王) of Silla. It is presumed that these inscriptions on roof tiles are related to the Silla six divisions(六部), such as the Seupbibu(習比部) and Hangibu(韓祇部).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roof tile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inscriptions and compared with other roof tiles from kiln site of Mangseong-ri and Dagyeong. As a result of analysis, the inscribed roof tiles with Uibongsanyeongaeto(儀鳳四年皆土) and complex fringed pattern have similar mineral compositions, geochemical distribution, and firing temperature below 1,000℃. It is presumed that they were made in Mangseong-ri kiln because their shape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with those of Mangseong-ri site. Meanwhile, roof tiles with inscription of Han/Hanji(漢/漢只) have firing temperature of 1,000~1,100℃ and same properties of raw materials unlike other roof tiles. It means that they were made by controlled process in selecting raw materials, preparing paste, and firing. In addition, other roof tiles including inscription of Seupbu(習部) and various beating patterns showed different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distributions. It means that they had different source materials or manufacturing methods and further study is needed to interpret their making-supply system. Consequently, as a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s were carried out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 many tiles were probably supplied from various kiln sites including Mangseong-ri. It is estimated that these inscribed roof tiles were manufactured and supplied by various workshops because they had different material characteristics despite their similar shape and surface patterns.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대상 및 방법
Ⅲ. 문자기와의 재료과학적 특성 분석
Ⅳ. 고찰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홍주(Jin Hong-ju),이명성(Lee Myeong-seong),장성윤(Jang Sung-yoon). (2021).황룡사 광장배수로 출토 문자기와의 재료과학적 특성 및 산지 해석. 고문화, 98 , 161-184

MLA

진홍주(Jin Hong-ju),이명성(Lee Myeong-seong),장성윤(Jang Sung-yoon). "황룡사 광장배수로 출토 문자기와의 재료과학적 특성 및 산지 해석." 고문화, 98.(2021): 161-1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