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모노래 ‘이 물꼬’ 사설의 첩노래 수용 양상 연구

이용수 11

영문명
A Study on Adoption Aspects of Concubine song of ‘I-mulkko’ saseol in Rice-planting Songs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이소윤(Lee, Soyun)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44호, 235~26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1.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한국구비문학대계󰡕에 나타난 모노래 ‘이 물꼬’ 사설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에 대한 해석적 검토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기본형 사설에 주인네 마누라가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이 물꼬’ 사설이 사건화될 단서를 얻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희롱과 조소의 대상이던 주인네 마누라가 공감과 연민의 대상으로서 거듭나는 점은 앞으로 첩노래 사설이 ‘이 물꼬’ 사설에 수용될 수 있는 전거를 마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이 물꼬’ 사설에 장편화된 첩노래의 사설이 수용된 경우 창자가 모두 여성이었다는 사실은 의미심장하다. 첩의 집에 놀러가는 주인네 양반의 처지에 공감할 수 없었던 남성 향유층과 달리 여성 향유층은 첩으로 인해 마음 고생하는 주인네 마누라의 처지에 쉽게 공감했을 것이다. 따라서 ‘이 물꼬’ 사설의 사건화 양상과 그것을 토대로 한 첩노래 수용에 여성 향유층이 적극적으로 가담하였을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더 유념할 것은 ‘이 물꼬’ 사설에 등장한 주인네 마누라를 첩노래 사설에 등장하는 ‘큰어머니’로까지 전화(轉化)하게 만든 ‘첩’의 존재이다. ‘첩’은 전근대 남성 중심의 일부다처제 현실을 암시하는 존재로서 당대 남성에게는 욕망의 대상으로, 당대 여성에게는 분노의 대상으로 인식되었다. 인식의 향방은 달랐지만 ‘첩’은 이렇게 남성과 여성 향유층 모두에게 관심을 받는 존재였기에 남녀가 같이 모를 심는 노동 현장에서 쉽게 공론화될 수 있는 대상이었다. ‘첩’을 바라보는 남성 향유층과 여성 향유층의 인식상 대립이 첩노래 사설을 모노래 사설에 끌어들이는 특이 현상을 낳은 것이다. 그러므로 ‘첩’이 ‘이 물꼬’ 사설의 사건화 양상과 그것을 토대로 한 첩노래 수용 양상에 끼친 영향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영문 초록

As the study carried out an analytic examination on the basic type and derived type of ‘I-mulkko’ saseol, it was found that when the landlord’s wife appears in the saseol, ‘I-mulkko’ saseol starts to get groundwork which leads it to an event. Especially, the point where the landlord’s wife who used to be the subject of sneer and ridicule becomes the subject of sympathy and pity seems to be establishing the groundwork where concubine song could later be joined to ‘I-mulkko’ saseol. Meanwhile, it is highly significant that the singers were all females in the case where the extended saseol of concubine song was combined to the ‘I-mulkko’ saseol. Regarding this point, it can be inferred that it is probably because the women who enjoyed the songs would have easily sympathized the landlord’s wife who feels miserable because of the concubine while men who enjoyed the song couldn’t easily sympathize the landlord who visits the concubin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women enjoyers of the song could have actively engaged in turning the I-mulkko saseol into the event and accepting the concubine songs based on it. Another point that deserves attention is the existence of the concubine, who raises the landlord’s wife up to the subject of sympathy and pity from that of ridicule and sneer, and furthermore turns her into the ‘big mother’ who appears in the saseol of concubine songs, a type of folk ballad. Concubines, representing the reality of polygyny in the pre-modern men-centered society, were regarded as the subject of desire by the contemporary men and as the subject of hatred and anger by the contemporary women. Even though the directions of perception were different, as they were the subjects who get attention from both male and female listeners, concubines must have been the subject that can be talked about in the rice-planting field where both men and women worked together. Thus, the contrast in the perception of men and women towards concubines results in the unique phenomenon of taking the subject of concubines into work folk songs, and this phenomenon can be said to have broken the boundary of genre between work folk song and folk ballad. Therefore, we cannot overlook the concubine’s influence on the ‘I-mulkko’ saseol turning into an event and the acceptance of concubine songs based on it.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이 물꼬’ 사설의 존재 양상과 유형
Ⅲ. 주인네 마누라의 세 가지 양상과 의미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소윤(Lee, Soyun). (2021).모노래 ‘이 물꼬’ 사설의 첩노래 수용 양상 연구. 국문학연구, (44), 235-264

MLA

이소윤(Lee, Soyun). "모노래 ‘이 물꼬’ 사설의 첩노래 수용 양상 연구." 국문학연구, .44(2021): 235-2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