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의 전통상례와 죽음관 연구(2)

이용수 49

영문명
A Study on Traditional Funeral Ceremonies and View of Death in Korea(2)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강성경(Kang, Seong-Gyung)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14권, 7~2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통신앙에서 영혼의 천도를 위한 사령제의 목적은 살아있는 사람을 위한 인간 중심주의의 발현이었다. 왜냐하면 영혼이 현세에 계속 머물러 있으면 살아있는 사람에게 해를 주므로 망자는 이승에서의 한을 풀고 어서 저승으로 가기를 권하는 의식이었다. 유교적 전통과 기독교적 죽음관 속에서 그 유사성이 발견된다는 사실은 흥미로운 일이다. 구약성서에서 의인(義人)은 제명을 다하지 못하고 죽더라도 안식을 얻을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몸을 죽여서라도 인(仁)을 이루고자 하였던 유교적 선비정신과 일치하고 있다. 전통상례에서 영혼은 둘로 분화하여 하나는 저승으로 가서 안착을 시도하는가 하면 또 하나는 사당에 머물면서 집안의 대소사에 끊임없이 관여하는 수호신으로 남아 있기도 한다. 이는 무속적인 저승관과 유교제례의 엄격한 과정 속에 내재된 이중적 영혼관으로 보인다. 또한 엄숙하고 복잡한 상례절차는 곧바로 도(道)의 실현이었으며 인격의 완성을 추구함이었다. 사자의 유체를 안치하는 관(棺)의 바닥에는 칠성판이 있어 원래 왔던 곳으로 돌아간다는 귀소의 의미와 동시에 새로운 생명을 부여받아 돌아오기를 기원하는 칠성신앙의 간절한 염원이 담겨 있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belief, exorcism is thought to guide a dead soul to the heavenly destination, a manifestation of humanism for living people. As long as a dead soul remains in this world, it is believed to do evil to living persons. This is why exorcism is practiced to send the dead soul to the underworld as early as possible after satisfying its grudge.The Old Testament of Bible testifies that a righteous man can find a refuge even after the untimely death, which, in principle, complies with the Confucian spirit of classical scholar who used to seek after accomplishing perfect virtue even at the cost of his life.In the traditional funeral services, it is believed that a soul is divided into two; the one is expected to go to the underworld to take rest, while the other one remains in the household shrine as a guardian god engaging in all sorts of family affairs incessantly. The solemn and intricate process of funeral ceremonies is regarded as realizing the truth and pursuing the completion of personality.The mortuary plank laid on the bottom of a coffin is thought to symbolize the return of the dead to the original place and, at the same time, the hope to come back with a new life.

목차

Ⅰ. 서언
Ⅱ. 전통신앙과 기독교의 죽음 인식
Ⅲ. 사자의 례(死者儀禮) 속에서 죽음의 인식
Ⅳ. 결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성경(Kang, Seong-Gyung). (2002).한국의 전통상례와 죽음관 연구(2). 종교교육학연구, 14 , 7-28

MLA

강성경(Kang, Seong-Gyung). "한국의 전통상례와 죽음관 연구(2)." 종교교육학연구, 14.(2002): 7-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