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선과 밀교의 소통에 관한 고찰

이용수 21

영문명
A Study on the Community of Thought Shown in Seon and Esoteric Buddhism
발행기관
한국종교교육학회
저자명
정성준(Cheong, Seongjoon)
간행물 정보
『종교교육학연구』제29권, 237~25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2.28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도불교의 역사는 불교교단에서 제기된 교학과 수행체계를 수행자의 지적 논리력을 기반으로 전개시킨 인명학과 이를 통해 얻어진 지견을 경험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유가행의 두 영역으로 귀결되었다고 요약할 수 있다. 대승불교의 유가행은 밀교의 교학적, 실천적 기초가 되었으며 밀교수행은 만다라를 통해 구현된 대승불교의 자리와 이타적 사상을 진언과 도상을 통해 관상하여 자신의 심성과 육체에 실현하는 것이다. 반면 중국의 선불교는 인도불교의 난해한 형식과 종교적인 의례를 벗고 수행자의 심성을 직시하여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선과 밀교는 성격과 현상에 있어 매우 다르지만, 외형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수행자의 마음을 붓다의 자성으로 전환하는 공동의 목표가 존재한다. 선과 밀교는 최종적으로 무, 혹은 무분별의 지혜를 통해 해탈을 도모하고 이타적 자아를 실현하기 위해 존재한다. 선수행은 화두로의 몰입과 논리의 배제를 통해 사량과 분별을 멈추었을 때 드러나는 오도를 경험키 위해 모든 노력들이 경주되지만, 밀교의 수행은 수행자의 논리력과 더불어 심성을 직시할 수 있는 지관의 유가행을 병행한다. 선의 경우 의식을 집중케 하려는 수단으로서 화두나 묵조, 정토관 등이 동원되지만, 밀교의 경우 진언과 수인, 조직적인 만다라의 다양한 도형을 통해 수행자의 의식을 보다 효과적으로 정교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이 내재되어 있다. 선을 통한 인간의 완성은 일체의 허구를 벗은 채 드러나는 무작무위의 진인이며, 밀교의 경우 범속한 의식과 육체적 경계를 진리로 인식할 수 있는 수행과 대승불교의 자비를 자신의 현실에 구현하는 공동의 목표를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In the history of Indian Buddhism the law of Dependent Rising of Sakyamuni Buddha has been a fundamental source that enabled the development of Middle Way Philosophy and Mind Only Buddhism. The advent of systematic Esoteric Buddhism in the middle of 7th century has its foundation on the traditions of Mahayana Buddhism of doctrines and practice system that enable the practitioner to achieve enlightenment effectively by visualizing Mandalas and chanting Mantras. On the other hand Seon Buddhism of China was an another development of Indian Buddhism which nature is recognized by brevity and practical use but Seon Buddhism fundamentally succeeded the traditions of Indian Buddhism so that it eventually has communities of thoughts and practices found in Esoteric Buddhism. Despite of outward appearances it is found the common points which is seen in the traditions of Seon and Esoteric Buddhism that holds in common the same doctrinal system of mind and consciousness, same practices of Visualizations that enables the practitioner to calm down his mind and discern the nature of himself to get supreme enlightenment.

목차

Ⅰ. 서언
Ⅱ. 선과 진언유가
Ⅲ. 무위진인과 즉신성불
Ⅳ. 결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성준(Cheong, Seongjoon). (2009).선과 밀교의 소통에 관한 고찰. 종교교육학연구, 29 , 237-250

MLA

정성준(Cheong, Seongjoon). "선과 밀교의 소통에 관한 고찰." 종교교육학연구, 29.(2009): 237-2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