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4·3을 경험한 여성 생존자의 그림 표현 사례 연구

이용수 258

영문명
A Case Study on the Drawing Expression of a Female Survivor Who Experienced Jeju 4·3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김유경(Kim, Yu-Kyung)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28권 제5호, 1145~116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4·3을 경험한 여성 생존자의 그림 표현을 통해 4·3 당시 마을에서 일어난 상황과 4·3 이후 생계를 위한 노동에서 무엇을 기억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4·3을 경험한 여성 생존자로 84~87세 사이에 진행한 질적 사례 연구이다. 연구 기간은 2017년 10월 8일~2020년 1월 18일(2년 3개월)까지 회기당 90분간 총 42회기 면담하였다. 자료 분석은 주제 분석을 하였으며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이 4개의 대주제와 10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대주제는 ‘행복’, ‘붉은 폭풍’, ‘해녀의 삶’, ‘4·3에 대해 털어놓는다는 것’이며 하위 주제는 ‘그리운 아버지’, ‘1948년 12월 16일 낸시빌레에서의 희생’, ‘1949년 1월 17일 북촌 사건’, ‘가족의 귀환’, ‘할아버지와 친족들의 시신을 수습’, ‘아버지의 화병’, ‘생계터-다려도’, ‘미역은 저승풀’, ‘그림과 나의 만남’, ‘심리적 시원함’이다. 본 연구를 통해 그림 작업이 과거의 기억을 구체화하고 조직화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역사적 사건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그림 작업이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해 논의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at happened in a village during the tragic Jeju 4-3 incident by examining the drawing expression of a female survivor who experienced the incident and what she can remember from the labor she undertook to make ends meet following Jeju 4․3. The study subject is a woman who survived Jeju 4․3;,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when she was between 84 and 87 years old. The study was carried out between October 8, 2017, and January 18, 2020, a span of 2 years and 3 months. A total of 42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each interview lasted 90 minutes. To analyze the resulting data, a thematic analysis was performed. The analysis resulted in four themes (“happiness,” “red storm,” “the life of a haenyeo,” and “openly speaking about Jeju 4․3,”) and 10 sub-themes (“a missed father,” “victimization at Naensibille on December 16th, 1948,” “the Bukchon incident on January 17th, 1949,” “return of a family,” “the recovery of the dead bodies of grandfather and relatives’,” “father’s hwa-byung,” “a place for livelihood-Daryeo-do,” “sea mustard is jeoseungpul,” “the encounter between me and the drawing,” and “sense of relief.”) These findings show that drawings are effective tools for helping individuals recall and specify past memories. In addition,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that drawings can be utilized as a way to understand future historical ev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유경(Kim, Yu-Kyung). (2021).제주4·3을 경험한 여성 생존자의 그림 표현 사례 연구. 미술치료연구, 28 (5), 1145-1164

MLA

김유경(Kim, Yu-Kyung). "제주4·3을 경험한 여성 생존자의 그림 표현 사례 연구." 미술치료연구, 28.5(2021): 1145-1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